건축가(건축설계사)
건축·토목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각종 건축물 건설 및 수리를 계획하고 설계한다.
건축설계사(건축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 건축학과(5년제)나 건축공학과(4년제), 전문대학 건축과(2~3년제) 또는 건축전문대학원을 졸업한 후, 건축사사무소에 취업하여 건축사보로서 일정 기간 실무 경력을 쌓은 후 건축사(대한건축사협회에서 시험 주관, 국토교통부에서 자격 발급) 자격을 취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드물지만 특성화고등학교나 3년제 고등기술학교 건축과에서 교육을 받은 후 현장경력을 쌓은 후 건축사 자격을 취득하는 경우도 있다.건축물의 설계와 공사감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건축사 자격을 갖추려면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건축사 자격시험을 통과해야 한다.건축사 자격시험의 응시자격은 다음의 3가지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한다.① 건축사사무소 개설신고를 하고 건축사업을 하고 있는 건축사사무소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에 따라 3년(인증 5년제 건축학과 또는 건축학대학원 이수자) 또는 4년 이상(비인증 5년제 건축학과 또는 건축학대학원 이수자) 실무수련을 받은 사람 ② 외국에서 건축사 면허를 받거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건축사법에 따라 건축사의 자격과 같은 자격이 있다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사람으로서 통틀어 5년 이상 건축에 관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③ 건축사예비시험에 합격한 사람으로서 건축사예비시험의 응시자격을 취득한 날부터 5년 이상(5년 이상의 건축학 학위과정을 이수하고 그 학위를 취득한 사람은 4년 이상) 건축에 관한 실무경력을 쌓은 사람.2019년까지 건축사예비시험에 합격한 자에 한해 2026년까지 건축사 자격시험에 응시 가능 건축설계 교육을 담당하는 건축학과는 예전에는 4년제였으나 지금은 국내 건축사 자격에 대한 국제 인증을 받기 위해 5년제로 개편되었다.건축학과에서는 건축설계, 건축구조, 건축시공, 건축재료, 건축응용학, 건축계획, 건축법규, 제도실습 등을 배운다.건축설계사는 주로 건축사사무소에 취업하거나 개업을 하며, 일부는 일반건설회사나 플랜트설계회사, 엔지니어링회사 등에 취업한다.대형 건축사사무소나 건설회사의 경우에는 공개채용을 통해 취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중소형 건축사사무소의 경우에는 수시로 필요에 따라 채용하고, 교수나 선배의 추천으로 취업하는 경우가 있다.건축사사무소에 입사하여 건축사보로서 일정 기간 실무경력을 쌓은 후에 건축사 시험에 합격하면 자신의 건축사사무소를 개설할 수 있다.최근에는 건축사사무소 간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건축사 자격을 취득하더라도 건축사사무소를 곧바로 개설하지 않고, 경력과 경영 능력을 키운 후에 사무소를 개설하는 경우가 많다.건축설계사는 건축설계에 대한 지식 및 기술 외에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조정하고 다양한 시공업자들의 업무를 조율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 직무 관련 역량
- 건축·설비공학과건설기계기술사
- 일자리현황
- 강구조물 설계
(주)약동산업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3400만원 ~ 5000만원
(주)호연롤포밍 3분기 공채 채용 공고 - 설계부주식회사 호연롤포밍
주5일근무 기간제
연봉 2520만원 ~ 2800만원
국가유산 설계 직원 모집(주)현창종합건축사사무소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3000만원 ~ 4200만원
건축 공무(주)윈도우종합건설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4500만원 ~ 5000만원
전문건설업 사무관리직주식회사스틸콘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70만원 ~ 270만원
설계부 직원 채용(주)한독리스산업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50만원 ~ 400만원
설계 경력직아미건축사사무소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2600만원 ~ 2700만원
[모듈러하우스] 건축설계 경력자 채용안성맞춤이동식주택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350만원 ~ 400만원
건축사사무소 신입, 대리 직원 구합니다.건축사사무소 청진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10만원 ~ 300만원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건축설계사는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건축사사무소에 등록된 건축사는 10,908명이며, 건축사보는 30,028명이다.건축사 자격취득자는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까지 연간 1천 명 내외가 배출되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최근에는 연간 300~500백 명 수준에서 배출되고 있다.따라서 자연감소분을 감안하더라도 당분간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다만, 위축된 신규주택 건축시장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건축설계사의 취업 경쟁과 건축사사무소 간의 경쟁은 치열할 것이다.건축설계사의 일자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국내 건설경기 전망이다.장기적으로 가구 수 증가율 감소, 100%가 넘은 주택보급률, 저출산·고령화 등의 요인으로 신규주택 수요가 감소하여 신규주택 건축시장을 위축시킬 것이다.반면에 국내 건설 산업이 2020년을 전후하여 본격적인 성숙 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재건축 및 리모델링 공사가 증가할 것이고,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 사업도 본격화할 것이다.또 주택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아파트 중심에서 단독주택이나 타운하우스 등 다양한 형태의 주택에 대한 신규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그 외에 친환경 및 에너지효율 건축에 대한 수요 증가, 문화와 여가 욕구의 증가에 따른 각종 박물관, 미술관, 체험관 등의 문화시설, 숙박시설, 레저시설 등에 대한 수요 증가 등도 건축설계사의 일자리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