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운송사무원

무역·운송·생산·품질 사무원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comment

항공기의 운항계획에 따라 운항규정, 항공법 등의 제반규정에 의거하여 승무원들의 개인비행계획을 작성·관리한다.

보통 소규모업체나 중소기업체에서 일하는 항공운송사무원에게는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대기업의 경우 관련 분야 대졸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는 편이다.담당하는 업무에 따라 교육수준과 필요한 지식이 다르지만, 유통, 경영, 경제, 법, 회계, 행정 관련 학과를 전공하면 취업에 유리하다.항공운송사무원이 되기 위한 특별한 자격증은 없지만, 인터넷 활용능력과 컴퓨터를 활용한 문서작성능력이 필수적이다.취업을 하면 일정 기간의 교육훈련과 현장견습이 필요하다.

직무 관련 역량
경영학과
항공교통관제사(국가전문)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항공운송사무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항공운송사무원의 고용 전망은 관련 운수업의 성장 정도에 영향을 받는데, 주 5일 근무제 실시와 여가시간 확대에 따른 여행객 증가, 인터넷쇼핑, TV홈쇼핑 등을 통한 물류거래량과 택배량의 증가는 항공운송 분야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또한, 해외 여행객 등 항공기 이용객이 증가하면서 비행기 운항 횟수가 계속 늘고 있고, 이에 따라 항공운송사무원의 업무량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사무원을 최소 인원으로 정예화 하는 등 인건비를 최소화하여 남은 비용을 업무역량 강화 등에 투여하고자 할 것으로 보인다.특히 사무자동화 등 운송관련 사무용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보급에 따라 사무원들의 업무량과 업무 시간이 줄고 있다.이처럼 고용 증감 요인이 비슷하게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지식

운송(94)
영어(88)
지리(81)
사무(80)
통신(77)

업무환경

앉아서 근무(91)
이메일 이용하기(89)
전화 대화하기(87)
다른 사람과의 접촉(84)
사람들과 직접 접촉(80)

성격

리더십(62)
책임과 진취성(55)
꼼꼼함(55)
분석적 사고(54)
적응성
융통성(54)

흥미

관습형(Conventional)(60)
진취형(Enterprising)(47)

직업가치관

인정(88)
고용안정(86)
심신의 안녕(86)
경제적 보상(86)
다양성(77)

업무활동 중요도

행정, 관리 업무(89)
컴퓨터 업무(85)
정보 처리(81)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76)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75)

업무활동 수준

행정, 관리 업무(92)
컴퓨터 업무(84)
정보 처리(83)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3)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