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기능원

기타 건설 기능원(채굴포함) | 건설·채굴직

comment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건조 시 상태를 조사 및 촬영하고, 오염된 외판의 청소, 수중용접, 선급검사 등 수중에서 발생되는 제반작업을 수행한다.

산업잠수 및 수중기능원이 되기 위해 대학이나 폴리텍, 스킨스쿠버 민간양성기관, 직업훈련기관 등에서 교육훈련을 받거나 군대에서 관련 경력을 쌓은 후 국가기술자격인 잠수기능사, 잠수산업기사를 취득하면 된다.선박 및 해양구조물 건조 및 보수 시, 수중에서 사진 촬영, 오염된 외판의 선저 청소, 구조물의 설치 및 철거, 수중 용접 등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잠수에 대한 지식과 기술 외에 수중 용접 기능이 필요하고, 강인한 체력이 요구된다.

직무 관련 역량
잠수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잠수 및 수중기능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우리나라는 도로, 철도, 항만 등의 사회기반시설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결과 사회기반시설이 어느 정도 갖추어진 성숙기에 접어들었고, 이는 공공부채 증가를 억제하려는 정부정책과 맞물려 신규 공공건설 투자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향후, 공공토목건설 투자 확대가 쉽지는 않겠지만,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사회기반시설 확충이라는 측면에서 기존 노후화된 항만 시설의 개보수나 신설이 꾸준히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특히, 해양 관광 산업 육성을 위해 마리나 시설 설치 등 해양 자원 개발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해난 사고 시, 구조나 선체 인양 등에 대한 수요가 꾸준한 편이다.

지식

생물(63)
안전과 보안(58)
의료(52)
사회와 인류(52)
철학과 신학(51)

업무환경

규칙적인 근무(100)
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7)
균형을 유지하기(97)
보호장비 착용(92)
위험한 장비 노출(92)

성격

혁신(60)
리더십(58)
타인에 대한 배려(55)
스트레스 감내성(47)
독립성(46)

흥미

현실형(Realistic)(99)
탐구형(Investigative)(40)

직업가치관

이타(90)
성취(89)
다양성(88)
경제적 보상(77)
자율(69)

업무활동 중요도

일반적인 신체활동(97)
차량, 기계, 장비 작동(96)
기계장치 제어(95)
기계장비 유지 보수(95)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4)

업무활동 수준

일반적인 신체활동(98)
차량, 기계, 장비 작동(96)
기계장비 유지 보수(96)
물건 조종, 운반(94)
기계장치 제어(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