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시설서비스원

오락시설 서비스원 |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comment

경기장, 유희장, 유원지, 전망대 등과 운동설비를 갖춘 장소 등에서 편의와 안전유지 업무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기획, 개발, 관리 등의 분야는 정규직원으로 채용되며, 놀이공원의 현장업무는 아르바이트 직원이 담당한다.현장업무의 경우 본인의 지원분야와 적성, 공석 등을 고려하여 놀이공원 내의 안내, 티켓판매, 식음료, 청소 및 어트랙션운영(놀이기구조작), 동물사육, 파킹 등의 업무가 주어진다.놀이기구 조작분야의 경우도 간단한 버튼조작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업무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단기간의 교육으로 활동한다.1~3일정도의 기간동안 인사법, 손님응대법 등의 서비스교육과 안전교육 등을 받은 후 현장업무를 시작할 수 있다.아르바이트의 경우 대부분 고졸 이상의 학력으로 20대 중반 이내의 연령자로 채용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상시계약직, 주말직, 시간제 등 다양하게 구분하여 채용하고 있으며, 성실하고 근면하게 일한 아르바이트 경력자의 경우 인턴직이나 정규직이 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도 한다.정규직원은 대부분 공개채용으로 이루어지며, 아르바이트직원의 경우 상시채용을 한다.

직무 관련 역량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놀이시설종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생활수준의 향상, 레저문화의 확산 등으로 놀이시설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이로인해 놀이시설이 늘어나는 것도 놀이시설종사원의 고용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하지만 놀이시설에서는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한 노력으로 놀이시설 종사원의 수를 줄이기 위해 자동화 기계 등을 도입하고 있어 고용유발이 쉽게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또한 놀이시설 종사원에 대한 열악한 근무조건과 낮은 임금 때문에 이 직업에 종사하려는 사람들의 수가 현재보다 크게 늘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식

고객서비스(67)
안전과 보안(58)
영업과 마케팅(55)
역사(52)
상담(47)

업무환경

규칙적인 근무(99)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8)
걷거나 뛰기(98)
주말 및 공휴일 근무(98)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7)

성격

사회성(41)
타인에 대한 배려(38)
스트레스 감내성(29)
자기통제(29)
인내(27)

흥미

사회형(Social)(87)
예술형(Artistic)(58)

직업가치관

개인지향(68)
자율(58)
신체활동(41)
다양성(30)
심신의 안녕(22)

업무활동 중요도

조직 외부인과 소통(80)
사람들을 배려, 돌봄(73)
일반적인 신체활동(67)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63)
대인관계 유지(57)

업무활동 수준

조직 외부인과 소통(66)
일반적인 신체활동(63)
사람들을 배려, 돌봄(59)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46)
대인관계 유지(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