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지원전문가

데이터·네트워크 및 시스템 운영 전문가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IT기술지원전문가는 시스템 사용상의 고장이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원활히 해결해주고 기술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IT기술지원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 혹은 대학교 이상에서 컴퓨터공학이나 전자공학을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이들은 높은 수준의 이론적 지식을 갖추고 집중적인 현장훈련을 받아야 설계, 개발 및 기술지원 업무가 가능하며 어떤 경우이든 급속히 발전하는 신기술을 습득하고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여야 한다.또한 IT기술지원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컴퓨터를 좋아해야 하고, 전기·전자·기계 분야에 흥미가 있는 것이 중요하다.그리고 수학이나 물리, 화학 등 이과계열 과목에 적성이 있는 사람이면 유리하다.또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리적이고 독창적인 사고력과 인내력을 갖고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직무 관련 역량
컴퓨터공학과
네트워크관리사(국가공인 민간)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IT기술지원전문가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e-비지니스가 확대되고 스마트폰 사용자 확대, 사회적 미디어 활성화, 각종 기기의 자동화·디지털화, 사물인터넷(IOT)의 개발 및 기존 시스템과의 연결망 확대로 IT분야 정보시스템의 규모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이러한 환경에서 정보시스템의 고장이나 장애는 막대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어 각 기관에서는 24시간 정보시스템을 관리하는 등 품질관리에 중점을 두면서 IT기술지원전문가의 고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다만, 규모가 큰 기관에서는 자체 인력을 채용하지만 별도의 통합 데이터센터를 통해 시스템을 유지·보수하고 시스템통합(SI)업체에 외부용역을 주거나 관련 업체로부터 인력 파견을 받는 등의 근무조건 변화는 채용에 부정적인 영향이 될 수 있다.또한 인터넷상의 서버를 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일시에 해결하는 기술의 발전은 전문인력 감소와 외주화(outsourcing)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현대사회에서 IT기술에 의존한 시스템과 각종 서비스가 크게 확대되고, IT시스템의 오작동이나 마비 등이 발생할 경우 기업과 개인 모두 막대한 불편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IT기술이 발전할수록 기술지원 인력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

컴퓨터와 전자공학(93)
통신(88)
영어(80)
고객서비스(78)
상품 제조 및 공정(78)

업무환경

재택근무(100)
다른 사람과의 접촉(90)
자동화 정도(87)
외부 고객 대하기(85)
이메일 이용하기(85)

성격

분석적 사고(78)
협조(72)
신뢰성(71)
꼼꼼함(70)
책임과 진취성(70)

흥미

관습형(Conventional)(71)
예술형(Artistic)(55)

직업가치관

다양성(93)
신체활동(86)
인정(83)
지적 추구(79)
타인에 대한 영향(66)

업무활동 중요도

창조적 생각(96)
자원 관리(94)
컴퓨터 업무(91)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1)
행정, 관리 업무(90)

업무활동 수준

자원 관리(99)
사람들을 배려, 돌봄(96)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6)
행정, 관리 업무(95)
협상, 갈등 해결(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