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정비원

운송장비 정비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증기, 휘발유, 디젤 및 기타 형태의 선박기관의 고장을 수리하고 부품을 교체하여 정비한다.

선박정비원이 되기 위해서는 일반 기계 관련 공업계 고등학교 및 대학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거나, 선박정비 훈련기관에서 시행하는 선박기관정비 등 6~12개월 과정의 훈련프로그램을 이수하면 취업에 유리하다.

직무 관련 역량
기계공학과
기관사(국가전문)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선박(엔진)정비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선박(엔진)정비원의 인력 수요는 여객 및 화물 수송량에 큰 영향을 받는다.국민생활수준의 향상과 국제화 추세 등에 따라 여가생활과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여객선 이용객이 증가하고, 각종 국제행사를 활발히 개최하고 있어 선박 분야는 매년 소폭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이처럼 여객 및 화물 수송 실적이 해마다 증가하고, 선박 물량도 증가하고 있어 선박(엔진)정비원의 인력 수요는 꾸준히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또한, 노후화된 선박을 현대식 선박으로 교체하기 위한 선박의 현대화 및 장비와 기술의 현대화가 이루어지고는 있다.그러나 국내 인건비 상승에 따라 이러한 작업이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낮은 중국, 필리핀 등지에서 많이 수행되고 있다는 점은 선박정비원의 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따라서 선박(엔진)정비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지식

기계(81)
생물(71)
운송(68)
화학(66)
건축 및 설계(64)

업무환경

온몸 진동 노출(100)
비좁은 업무 공간(99)
서서 근무(98)
실외 근무(96)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6)

성격

성취
노력(60)
책임과 진취성(55)
타인에 대한 배려(55)
분석적 사고(53)
리더십(46)

흥미

현실형(Realistic)(89)
탐구형(Investigative)(53)

직업가치관

심신의 안녕(35)
애국(27)
경제적 보상(23)
다양성(20)
고용안정(18)

업무활동 중요도

기계장비 유지 보수(99)
차량, 기계, 장비 작동(99)
물건 조종, 운반(99)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8)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8)

업무활동 수준

기계장비 유지 보수(99)
물건 조종, 운반(99)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8)
차량, 기계, 장비 작동(98)
일반적인 신체활동(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