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학 및 산림학연구원
생명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산림생산력 및 임업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양묘, 갱신·육림 시업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를 한다.
임학 및 산림학연구원로 일하려면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에서 임업계열 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좋다.입직할 때에는 석사 이상의 학력이 요구되기도 한다.국가기관에서 채용할 때는 자격증 등급별로 가산점이 주어지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응시자격을 자격증 소지자로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예를 들어, 임업기술지도원은 임업종묘기능사, 목재가공기능사, 펄프제지기능사, 조경기능사, 목질재료기능사, 산림기능사 등의 자격이 필요하다.
- 직무 관련 역량
- 농업학과
- 일자리현황
- [서울 송파] 산림기사 자격 보유자 채용 (엔지니...
행복한숲산림기술단 주식회사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20만원 ~
산림기술자 채용(주)웅경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10만원 ~
산림기술자 채용주식회사원웅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3,000만원
직원(계약직_연구원) 채용 공고사단법인 한국한센복지협회
주5일근무 기간제
연봉 6,500만원 ~
숲사랑엔지니어링 신입/경력 채용공고유한회사숲사랑엔지니어링
주5일근무 정규직
월급 250만원
(주)그린플러스 스마트팜 연구개발 채용(주)그린플러스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3,200만원
우리씨드 육종연구소 연구원 모집주식회사 우리씨드
주5일근무 기간제
월급 251만원
상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약직원(연구원) 채용공고상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주5일근무 기간제
월급 210만원
친환경농축산물(유기가공식품) 인증심사원 채용(주)자연들농식품인증원
주5일근무 정규직
연봉 2,580만원
-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임학 및 산림학연구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농림어업과 같은 1차 산업 인력 수요는 국가 정책이나 제도적인 부분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예측하기가 어렵지만, 임업기술자의 경우 주로 정부조직으로 채용되고 있어 일정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또한 농림어업 시장이 개방되면서 임산물의 수입 및 보급을 위한 품질검사와 병충해 방제기술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다.다만, 농림어업과 관련한 전문 기술직의 일자리는 관련 학과 졸업생들의 배출 인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여 입직 경쟁률은 매우 높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