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연구원

자연과학 연구원 및 시험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생산, 공정개발, 품질관리 및 정량분석 또는 분석방법의 개발, 새로운 생산물과 도구들의 산출 등을 목적으로 액체, 고체 기체물질 및 화합에 관한 연구, 분석, 종합 또는 실험을 수행한다.

화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화학과에 진학하여 석사 학위 이상의 학력을 소지해야 한다.인턴십이나 산학협력을 통한 실험실 경험이 입직에 도움이 된다.자연과학 분야의 학과는 개별 학과보다 학부 단위로 학생을 선발하는 경우가 많아 대학 진학 후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할 수 있다.석사 과정에 진학하면 분석화학이나 유기화학, 제약화학과 같이 자신의 전공에 대한 더 전문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다.특히 채용 시 박사 학위 이상으로 지원자를 제한하는 경우도 많아 박사 또는 박사 후 과정(post doctor)의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을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또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련 분야의 연구경험이 중요하기 때문에 석사과정 중에 학내외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 보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보조원(RA)으로 근무하면 입직 시 유리하다.

직무 관련 역량
화학과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화학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이다.화학연구원이 주로 활동하는 화학관련 산업의 종사자 추이를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로 살펴보면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제외」의 사업체 수는 2014년 9,818개소로 지난 7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이 산업의 종사자 수도 2008년 117,015명에서 2014년 156,689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들이 종사하는 세부 산업에 따라 전망은 다소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에서는 향후 다소의 취업자 증가세가 예상된다.선진국의 경기 회복과 저유가는 업체의 수익률을 개선시켜 투자와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중국 경기 둔화와 자급률상승은 국내 화학제품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한편, 화학산업의 경우 기존 산업의 성장과 함께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성장을 도모할 것으로 보인다.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대체에너지 산업, 2차전지로 대표되는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 등 자동차산업, 바이오의약, 정밀의약 등 보건의료산업 등과의 연계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지식

화학(100)
영어(91)
물리(91)
산수와 수학(87)
생물(84)

업무환경

위험한 상태 노출(94)
정확성, 정밀성 유지(89)
이메일 이용하기(87)
공문, 문서 주고받기(84)
오염물질 노출(84)

성격

분석적 사고(86)
혁신(82)
정직성(78)
성취
노력(71)
인내(71)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87)
관습형(Conventional)(80)

직업가치관

심신의 안녕(98)
고용안정(94)
신체활동(92)
성취(92)
개인지향(91)

업무활동 중요도

인사 업무(99)
자원 관리(96)
팀 구성, 협업 촉진(96)
정보, 자료 분석(95)
정보 처리(94)

업무활동 수준

인사 업무(98)
정보, 자료 분석(92)
정보의 의미 해석(91)
정보 처리(90)
자원 관리(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