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부착원

건축마감 기능원 | 건설·채굴직

comment

건축구조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창문이나 문, 그외 진열장 및 기타 틀에 유리를 부착한다.

유리부착원이 되기 위해 특별히 요구되는 자격이나 학력 조건은 없다.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일하면서 기능을 배우거나, 직업전문학교에서 훈련을 받을 수 있다.관련 자격으로 유리시공기능사(한국산업인력공단)가 있으며, 자격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하다.유리시공전문업체나 유리문·유리창 · 유리거울 제작업체에 취업하거나 자영업을 할 수 있다.

직무 관련 역량
유리시공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유리부착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유리부착원의 고용은 주택건설경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100%를 상회하는 주택보급률, 저출산·고령화 등에 따른 신규건축 수요 감소, 가계대출 억제와 신규 분양물량 조절 정책 등으로 민간건축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반면에 국내 건설 산업이 2020년을 전후하여 본격적인 성숙 단계에 진입하면서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과 재건축 시장이 성장할 것이고,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 사업도 본격화할 것이다.또한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자신의 보금자리를 개성있게 꾸미고자 하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인테리어 수요도 증가할 것이다.특히, 최근에 건축물 외장재로 유리판넬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인력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건설기능공의 고용시장을 보면, 불안정한 고용, 높은 작업강도, 안전사고 위험 등으로 인해 청년층의 신규 진입이 적고, 기존 근로자는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숙련기술을 익힌 청·장년층은 취업이 비교적 용이할 수 있다.

지식

건축 및 설계(87)
운송(83)
상품 제조 및 공정(78)
기계(72)
안전과 보안(68)

업무환경

고지대 작업(100)
균형을 유지하기(98)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7)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6)
비좁은 업무 공간(96)

성격

꼼꼼함(60)
독립성(43)
정직성(42)
신뢰성(39)
적응성
융통성(38)

흥미

예술형(Artistic)(85)
탐구형(Investigative)(77)

직업가치관

개인지향(37)
고용안정(35)
성취(24)
자율(23)
애국(17)

업무활동 중요도

물건 조종, 운반(96)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6)
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2)
기계장치 제어(92)
일반적인 신체활동(91)

업무활동 수준

물건 조종, 운반(96)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5)
일반적인 신체활동(91)
기계장비 유지 보수(91)
기계장치 제어(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