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관리자
전문서비스 관리자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comment
보건 및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내에서 진단·처치·간호 및 치료 등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기획·지휘·조정한다.
병원이나 보건소 등의 보건 및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내에서 진단, 처치, 간호 및 치료 등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기획, 지휘, 조정하는 보건의료관리자가 되려면 의료현장에서 의료인으로 종사하다가 관리자로 승진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병원의 행정업무를 담당하다가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고등교육기관에서 경영학 등의 관리와 관련된 전공을 공부하거나 혹은 의약계열에서 공부를 해야 한다.
- 직무 관련 역량
- 의학과간호사(국가전문)
- 일자리현황
- 일자리전망
보건의료관련관리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령인구의 증가와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증가로 예방의학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보건의료 기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관리자의 역할도 중요해질 전망이다.따라서 보건의료 분야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관리자를 중심으로 고용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식
의료(96)
인사(92)
경영 및 행정(87)
생물(86)
상담(85)
업무환경
의사결정 권한(99)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99)
결과에 대한 책임(99)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99)
의사결정 가능성(99)
성격
리더십(81)
사회성(76)
타인에 대한 배려(73)
협조(70)
책임과 진취성(67)
흥미
사회형(Social)(89)
관습형(Conventional)(82)
직업가치관
이타(97)
고용안정(95)
자율(95)
경제적 보상(94)
인정(94)
업무활동 중요도
인사 업무(100)
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100)
자원 관리(100)
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9)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9)
업무활동 수준
인사 업무(100)
자원 관리(100)
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99)
행정, 관리 업무(99)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