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공행정전문가

정부·공공행정 전문가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comment

중앙 및 지방행정 기관의 부서 또는 정부 산하단체에서 정책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고 실무를 수행한다.

정부정책기획전문가가는 민간인 신분 중 탁월한 업적이나 전문성이 있는 사람을 채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공무원 신분으로 중앙부처에 근무한다.전공은 제한을 두고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행정, 법학, 경제학 등의 사회과학 출신자들이 많은 편이다.행정고시를 임용된 사람들이 정부정책기획전문가로 많이 활동하기 때문에 행정고시를 통과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정부정책기획전문가 되는 방법이다.

직무 관련 역량
행정학과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정부정책기획전문가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중앙부처 등에서 정책입안을 하기 위한 전문적인 식견과 비젼을 가진 사람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상황이다.그러나 오랫동안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기조가 계속되고 있고 또한 정부 경영의 효율화 정책 때문에 정부의 부서를 세분하기 보다는 통합하는 경향 때문에 향후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공무원 인원은 국가가 정하는데 매 정권마다 선발하는 인원은 비슷한 경향이 있다.

지식

경영 및 행정(88)
사무(87)
국어(83)
법(79)
경제와 회계(78)

업무환경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2)
공문, 문서 주고받기(91)
결과에 대한 책임(89)
앉아서 근무(88)
전화 대화하기(87)

성격

협조(75)
사회성(72)
정직성(72)
분석적 사고(65)
신뢰성(65)

흥미

관습형(Conventional)(91)
진취형(Enterprising)(82)

직업가치관

고용안정(92)
애국(92)
이타(74)
지적 추구(73)
성취(73)

업무활동 중요도

행정, 관리 업무(97)
인사 업무(96)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5)
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93)
협상, 갈등 해결(91)

업무활동 수준

인사 업무(95)
행정, 관리 업무(93)
정보 수집(91)
자원 관리(90)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