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 교장 및 교감

전문서비스 관리자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comment

사립 또는 국공립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교육, 행정 및 기타 운영활동을 관리·감독한다.

중고등학교의 교감이 되기 위해서는 중등학교 정교사(1급) 혹은 보건교사(1급) 자격증을 가지고 3년 이상의 교육경력과 일정한 재교육을 받거나 중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 또흔 보건교사(2급) 자격증을 가지고 6년 이상의 교육경력과 일정한 재교육을 받거나 교육대학의 교수/부교수로 6년 이상의 교육경력이 있어야 한다.중고등학교의 교장이 되려면 교감 자격증과 3년 이상의 교육경력과 일정한 재교육을 받거나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한다는 인정을 교육부장관으로부터 받아야 한다.중고등학교의 교사는 많고 교감과 교장의 수는 적어 교감과 교장이 되기 위해서는 상기의 최소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교육경험과 근무평정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야 교육관리자가 될 수 있다.

직무 관련 역량
교육학과
중등학교 1,2급 정교사(국가전문)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중고등학교 교장 및 교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중고등학교 교장 및 교감의 고용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중고등학교의 수이다.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서비스에 의하면 2016년 중고등학교의 수는 5,562개교(중학교 3,209개교, 일반고 1,545개교, 특수목적고 152개교, 특성화고등학교 497개교, 자율형사립고 159개교)이다.연도별 중학교 개교 수를 보면 2011년 3,153개교에서 2014년 3,186개교 그리고 2016년 3,209개교로 소폭 증가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개교 수도 2011년 2,282개교, 2014년 2,326개교 그리고 2016년 2,353개교로 역시 소폭 증가하고 있다.중고등학생의 수가 급감하고 있지만 폐교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학교의 관리자는 있어야 하므로 당분간 중고등학교의 교장(교감)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지식

경영 및 행정(92)
인사(86)
사무(80)
역사(76)
상담(72)

업무환경

결과에 대한 책임(99)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99)
연설, 발표, 회의하기(99)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8)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96)

성격

리더십(80)
사회성(76)
책임과 진취성(65)
정직성(65)
타인에 대한 배려(63)

흥미

진취형(Enterprising)(98)
사회형(Social)(93)

직업가치관

고용안정(99)
심신의 안녕(96)
자율(95)
애국(95)
타인에 대한 영향(95)

업무활동 중요도

인사 업무(100)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99)
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8)
목표, 전략 수립(98)
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98)

업무활동 수준

인사 업무(100)
목표, 전략 수립(99)
협상, 갈등 해결(99)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99)
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