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영화 및 음반기획자

문화·예술 기획자 및 매니저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comment

콘서트 뮤지컬, 연극, 발레 등 공연과 영화, 음반 등 문화 상품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문화 상품의 소재 선정, 투자 유치, 예산 수립, 제작 인원 섭외 등의 프리프로덕션을 기획, 실행한다.

공연기획자가 되기 위해서는 특별히 학력이나 전공에는 제한이 없으나 대학의 예술경영, 공연기획과, 연극영화 등의 관련학과에서 공연기획에 대한 이론과 기획실습을 익힐 수 있다.또한 공연기획사, 극장 및 극단의 직원으로 시작하여 실무를 익히기도 하며 방송아카데미와 사설교육기관의 공연기획 프로그램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공연기획을 하기 위해서는 무대, 조명, 음향, 의상 등 공연 전반에 대한 지식을 고루 갖추어야 하며 공연을 무대에 올려 많은 관객을 모으려면 홍보나 마케팅 관련 역량도 필요하다.공연기획사에 취업하는 것 이외에 프리랜서로 활동하거나 협동조합을 창업하는 등 활동분야도 점차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직무 관련 역량
경영학과
무대예술교육사(국가전문)
일자리현황

지식

예술(98)
영업과 마케팅(82)
의사소통과 미디어(78)
국어(76)
통신(66)

업무환경

이메일 이용하기(87)
공문, 문서 주고받기(87)
전화 대화하기(83)
재택근무(79)
다른 사람과의 접촉(79)

성격

혁신(73)
독립성(71)
리더십(69)
책임과 진취성(65)
타인에 대한 배려(64)

흥미

예술형(Artistic)(95)
진취형(Enterprising)(80)

직업가치관

다양성(86)
신체활동(72)
지적 추구(54)
심신의 안녕(42)
타인에 대한 영향(40)

업무활동 중요도

창조적 생각(83)
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81)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76)
팀 구성, 협업 촉진(75)
정보 수집(73)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89)
창조적 생각(86)
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3)
팀 구성, 협업 촉진(82)
정보 수집(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