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전문가

경영·인사 전문가 | 경영·사무·금융·보험직

comment

인적자원관리와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조직의 변화 및 근로자와 관리자의 업무성과 향상에 대해 컨설팅한다.

인적자원컨설턴트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경영, 경제, 또는 노사관계, 법학 등의 사회과학을 전공하면 유리하다.일반적으로 인적자원 관련 컨설팅업체에서 일을 하거나 대기업, 혹은 공공기관에서 종사한다.기업체의 경우 공채를 통해 채용하는 반면, 컨설팅업체에서의 채용은 최근들어 공채보다는 경력자 중심 또는 추천에 의해 수시채용하는 추세이다.개인에 따라서는 채용 및 배치, 노사 관계, 재교육, 상담, 직무분석이나 보상과 같은 특정영역으로 전문화될 수 있다.

직무 관련 역량
교육학과
경영지도사[인적자원관리](국가전문)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인적자원컨설턴트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기업측에서는는 대내외 환경 변화 속에서 인적자원의 효율적 운영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커짐에 따라 인적자원전문가를 채용하거나 혹은 전문컨설팅업체에 조직인력의 채용, 배치, 관리 등에 대해 컨설팅을 의뢰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보여 향후 인적자원컨설턴트의 고용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산업 간 융합, 자동화 등에 따른 기업 구조조정, 인수합병 등이 수시로 일어나고 있고 기업체의 인력관리업무가 보다 고도화, 전문화됨에 따라 전문 인력을 채용하거나 혹은 컨설팅업체 등에게 아웃소싱을 주기도 한다.특히 최근 4차산업혁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기업에의 영향으로 다양한 인적자원을 수시로 채용하는 등 기존과 다른 비정형적인 채용, 관리하는 경우가 많아질 것으로 보임에 따라 인적자원컨설턴트의 고용증가와 업역확대를 가져올 수 있다.특히 기업체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인사노무에 대한 여러 이슈가 핵심경영전략 및 지속가능경영의 이슈로 제기되면서 공공부문에서의 고용이나 서비스 이용역시 상대적으로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지식

인사(98)
경영 및 행정(87)
법(85)
심리(82)
상담(81)

업무환경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0)
이메일 이용하기(89)
연설, 발표, 회의하기(88)
전화 대화하기(87)
앉아서 근무(87)

성격

사회성(82)
협조(78)
정직성(78)
신뢰성(77)
자기통제(75)

흥미

사회형(Social)(91)
진취형(Enterprising)(84)

직업가치관

타인에 대한 영향(90)
이타(88)
다양성(82)
성취(81)
자율(75)

업무활동 중요도

사람들을 훈련, 교육(97)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4)
사람들을 배려, 돌봄(94)
조직 외부인과 소통(92)
협상, 갈등 해결(91)

업무활동 수준

사람들을 훈련, 교육(97)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6)
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4)
협상, 갈등 해결(94)
행정, 관리 업무(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