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기계조립원

기계 조립원(운송장비 제외)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건설기계, 산업용기계 등을 수공구, 동력공구, 측정기구, 용접기구 등을 사용하여 조립·장착·용접하고, 시험·검사한다.

일반기계부품조립원은 취업 시 나이나 학력에 제한을 받지 않는 편이다.간단한 수조립은 몇 시간에서 며칠간의 현장 교육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자동조립라인이나 정밀조립은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기계, 전기, 전자, 통신 관련 학과 등을 전공하면 업무에 도움이 된다.또한, 정밀전자기구, 배전반 등을 조립할 때는 공업계 고등학교 졸업자 정도의 전기기능이 필요하기도 하다.공공직업전문학교에서는 기계조립 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민간직업전문학교에서도 일정 개월 과정으로 PC 조립, 전자기기조립, 반도체 조립과정 등이 개설되어 관련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있다.

직무 관련 역량
기계공학과
기계조립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일반기계조립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일반기계조립원의 고용은 기계 산업의 성장과 기술의 발전에 영향을 받는다.세계적으로 친환경 제조업의 지향,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의 활성화는 새로운 기계의 도입과 기계부품의 수요를 유발한다.일반기계조립원은 공정의 자동화에 따른 인력 감축과 3D업종이라는 인식이 만연하여 취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국내 인력이 외국인 근로자로 대체되고 있다.그리고 국내기업들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개발도상국으로 공장을 이전함에 따라 국내 일반기계조립원에 대한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지식

기계(90)
상품 제조 및 공정(86)
공학과 기술(72)
운송(68)
화학(68)

업무환경

위험한 장비 노출(96)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3)
보호장비 착용(92)
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0)
소음 노출(87)

성격

독립성(52)
스트레스 감내성(51)
꼼꼼함(50)
적응성
융통성(49)
분석적 사고(49)

흥미

현실형(Realistic)(70)
관습형(Conventional)(38)

직업가치관

고용안정(37)
애국(23)
인정(19)
심신의 안녕(15)
경제적 보상(13)

업무활동 중요도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6)
물건 조종, 운반(94)
기계장비 유지 보수(93)
기계장치 제어(93)
차량, 기계, 장비 작동(91)

업무활동 수준

기계장비 유지 보수(91)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1)
기계장치 제어(90)
차량, 기계, 장비 작동(88)
물건 조종, 운반(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