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심판 및 경기기록원

스포츠·레크리에이션 종사자 |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comment

경기심판은 각종 운동경기에서 경기규칙을 적용하여 경기가 원활히 진행 될 수 있도록 경기 전반을 통제한다. <br>경기 기록원은 경기 진행 및 결과를 기록하는 업무를 한다.

경기심판 및 경기기록원이 되기 위해서는 프로운동 관련 협회에서 주관하는 교육 및 자격이수와 선발과정을 거쳐야 한다.대한축구협회의 경우 1급~4급의 심판자격을 운영중이며, 이중 1,2급은 K리그 심판으로 활동할 수 있다.교육과 자격은 이론, 체력테스트, 실기 등으로 구성된다.프로야구의 경우 KBO 심판학교에서 실시하는 일반과정(10주), 전문과정(5주)의 프로그램을 이수할 수 있으며 일반과정 수료자 중 우수자에 한해서는 KBO 및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심판으로 선발하기도 한다.또한 꼭 프로경기의 심판이 아니더라도 동호회 등 사회인의 운동경기도 많으므로 다른 직업이 있으면서 병행하여 심판교육을 이수한 후 경기심판으로 종사하는 사람도 있고 최근에는 여성심판들도 활약중이다.외국어실력을 갖추고 국제심판자격을 취득하면 국제경기에서 심판으로 활동할 수도 있다.프로운동경기의 심판은 대부분 계약직으로 선발된다.

직무 관련 역량
예체능교육과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경기심판 및 경기기록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국내에는 야구, 농구, 배구, 축구 등 프로운동경기의 전임심판을 제외하고는 심판을 전업으로 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고용현황의 변동이 크지 않은 직업 중의 하나이다.프로운동경기의 심판은 시즌 중에는 각종 대회에 참가해 경기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공정한 판정을 내리며, 비 시즌 기간에는 체력 단련과 공정한 심판을 위한 보수교육 등 자기개발을 한다.아마추어 운동경기 심판의 경우 은퇴나 기타 사유에 의한 소수의 인력 충원이 대부분이고, 금전적 보상보다는 원활한 경기 운영을 주관하고 공정한 심판을 한다는 자긍심으로 일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지식

심리(50)
교육 및 훈련(43)
국어(41)
영어(37)
역사(35)

업무환경

규칙적인 근무(99)
걷거나 뛰기(95)
균형을 유지하기(84)
연설, 발표, 회의하기(76)
이미지
평판
재정에 미치는 강도(73)

성격

독립성(61)
리더십(61)
정직성(60)
신뢰성(59)
분석적 사고(56)

흥미

사회형(Social)(47)
예술형(Artistic)(38)

직업가치관

인정(82)
애국(76)
타인에 대한 영향(74)
심신의 안녕(71)
경제적 보상(66)

업무활동 중요도

일반적인 신체활동(82)
협상, 갈등 해결(79)
팀 구성, 협업 촉진(70)
정보 작성, 기록(70)
정보, 자료 분석(67)

업무활동 수준

정보 작성, 기록(84)
팀 구성, 협업 촉진(78)
일반적인 신체활동(76)
협상, 갈등 해결(71)
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