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연구원

인문·사회과학 연구원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정치제도, 정치운동, 국제정치 상황 등의 연구를 통해 정치 이론을 정립 · 발전시키며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정부, 정당 및 기타 단체에게 정치 관련 자문을 하기도 한다.

정치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정치학 분야에 해당하는 학과에 진학하여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을 소지해야 한다.석·박사 학위과정에 진학하면 세부적인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게 되는데 보통 향후 이와 관련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연구보조원(RA)으로 근무해 다양한 연구경험을 쌓으면 유리하다.

직무 관련 역량
경제학과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정치학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정치학연구원이 포함되는 사회과학연구원은 2015년 약 11.0천 명에서 2025년 약 13.7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7천 명(연평균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한편,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인문학 및 사회과학 연구개발업체의 수는 2006년 630개소에서 2015년 1,476개소로 57.3% 증가하였고, 동기간 종사자 수는 9,694명에서 20,858명으로 53.5% 증가하였다.정치학연구원을 포함한 사회과학연구원의 고용에는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이 공존하고 있다.긍정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미래를 예측하고 이를 준비하기 위한 사회과학분야의 연구는 어느 정도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하지만 정치학연구원을 비롯한 사회과학연구원이 주로 진출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경우 기본적으로 큰 인력 수요가 없으며, 대학부+H477설연구소의 경우는 고용형태가 불안정한 편이다.또한, 기업부설연구소는 주로 경제학, 경영학 분야의 연구원을 채용하고 있어 경제학, 경영학 분야가 아닌 정치학연구원의 신규 일자리 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상당수의 연구기관은 인건비를 외부용역이나 일시적 사업으로부터 충당하는 비중이 커져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연구인력을 채용하고 있다.대학부설연구기관의 경우 대학에서 박사과정에 있거나 시간강사로 활동하는 사람들이 주로 연구원으로 근무하기 때문에 정치학연구원의 전반적인 일자리 창출에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대학부설 사회과학 분야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상당수의 연구원이 비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식

사회와 인류(89)
역사(86)
영어(80)
국어(80)
법(79)

업무환경

재택근무(99)
앉아서 근무(91)
연설, 발표, 회의하기(89)
정확성, 정밀성 유지(84)
공문, 문서 주고받기(83)

성격

분석적 사고(72)
혁신(66)
독립성(65)
리더십(65)
자기통제(64)

흥미

탐구형(Investigative)(77)
사회형(Social)(76)

직업가치관

신체활동(97)
고용안정(95)
심신의 안녕(95)
경제적 보상(95)
애국(93)

업무활동 중요도

인사 업무(98)
정보, 자료 분석(97)
정보의 의미 해석(94)
목표, 전략 수립(92)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1)

업무활동 수준

정보, 자료 분석(96)
인사 업무(93)
자원 관리(91)
정보의 의미 해석(91)
정보 처리(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