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전문가

정보보안 전문가 |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comment

정보시스템과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정책을 수립하고, 시스템에 대한 접근 및 운영을 통제하며, 침입 발생시 신속히 탐지하여 즉각적으로 대응·복구한다.

컴퓨터 보안 업무를 하기 위해서는 각종 운영체제(OS)와 H/W는 물론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컴퓨터 관련 지식이 필요하다.따라서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컴퓨터나 정보보호 관련 학과 등에서 IT 분야 전반에 대한 지식을 쌓은 후 진출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정보보호 관련 동아리 활동 경력이나 각종 보안 관련 대회에서 수상한 경력도 도움이 된다.또한, 컴퓨터 보안과 관련된 사설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도 있다.취직 후에도 업무 분야나 IT 환경 변화에 따라 꾸준한 자기계발이 필수적이다.

직무 관련 역량
수학과
CISA[국제공인정보시스템 감사사](외국)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정보보안전문가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개인용 서버, 모바일 기기 등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저장된 정보에 대한 보안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개인정보보호 등 정보보안은 우리 생활과도 아주 밀접한 문제이며, 더욱이 국가기반시설에 대한 보안문제는 국가안보 또는 국익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전문가를 통한 보안 유지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특히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확대,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확대 등 초연결 사회로의 이행은 필연적으로 컴퓨터 보안의 수요를 강화하고 있다.지능형 사이버 보안이 핵심사이버 방어기술로 예측되고 있으며, 지능형 영상감시 등 물리 보안 세계적으로 국가안보전략기술로 인식되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식

컴퓨터와 전자공학(95)
통신(95)
법(82)
영어(81)
공학과 기술(79)

업무환경

앉아서 근무(84)
자동화 정도(84)
이메일 이용하기(80)
공문, 문서 주고받기(76)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75)

성격

분석적 사고(78)
신뢰성(75)
꼼꼼함(70)
협조(69)
독립성(68)

흥미

관습형(Conventional)(77)
현실형(Realistic)(53)

직업가치관

다양성(90)
개인지향(83)
타인에 대한 영향(83)
지적 추구(75)
신체활동(74)

업무활동 중요도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8)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7)
컴퓨터 업무(97)
인사 업무(96)
정보 처리(95)

업무활동 수준

자원 관리(97)
인사 업무(97)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6)
컴퓨터 업무(95)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