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관원(제관기조작원)

판금원 및 제관원 | 설치·정비·생산직

comment

철판, 형강, 봉 및 관 등의 재료를 도면에 맞게 현도작성, 절단, 성형, 용접, 다듬질 및 조립하여 보일러·강관, 철구조물과 저장용기류를 제작, 설치, 보수한다. 보통 각종 파이프를 제작하는 이들을 지칭한다.

제관원(제관기조작원)이 되려면 공업계 고등학교의 기계 및 재료관련 학과나 직업전문학교의 산업설비 및 소성가공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좋다.전문대학의 용접학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컴퓨터응용금속과, 산업설비과, 산업설비자동화과 등에서 용접이나 제관 등을 배울 수도 있다.한편, 직업전문학교에는 일반판금, 타출판금, 자동차판금, 제관 등의 훈련과정이 단기과정으로 개설되어 있다.제관원(제관기조작원)은 전문대학 이상에서 용접과, 기계과 등을 전공하거나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면 취업과 업무수행에 유리하다.

직무 관련 역량
제관기능사(국가기술)
일자리현황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제관원(제관기조작원)의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제관원(제관기조작원)의 고용 전망은 철강관제조업,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금속탱크, 저장보, 유사용기 제조업 등에 영향을 받는데 자동차, 조선산업의 활황에 기인한 전방산업의 효과 및 제품의 다양화 요구에 따른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고기능 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그러나 기능성 플라스틱, 비철금속 소재 등 신소재 대체 재료의 개발 확대와 제관공정의 자동화/기계화로 인력수요가 크게 늘고 있지는 않다.특히 CAD/CAM 등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으로 업무 효율화가 이뤄지고 공정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존 제관 분야의 인력감축이 예상된다.최근 제관기능사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것도 이 분야의 인력수요 창출이 어렵기 때문으로 추측된다.한편, 보일러, 덕트, 에어컨 케이스 등의 제작 업무는 숙련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이 분야에 종사하는 판금제관 기능공은 어느 정도 고용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그러나 제관 업무는 숙련을 요하는 작업이므로 전문기능공은 취업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식

기계(82)
상품 제조 및 공정(77)
공학과 기술(64)
디자인(45)
건축 및 설계(45)

업무환경

위험한 장비 노출(98)
보호장비 착용(97)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6)
온몸 진동 노출(95)
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2)

성격

독립성(44)
꼼꼼함(41)
스트레스 감내성(35)
협조(33)
혁신(33)

흥미

관습형(Conventional)(52)
예술형(Artistic)(43)

직업가치관

다양성(30)
개인지향(16)
고용안정(14)
애국(14)
지적 추구(13)

업무활동 중요도

기계장치 제어(98)
물건 조종, 운반(98)
일반적인 신체활동(96)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4)
기계장비 유지 보수(94)

업무활동 수준

기계장치 제어(96)
물건 조종, 운반(94)
기계장비 유지 보수(93)
일반적인 신체활동(90)
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