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보석가공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인쇄.목재.가구.공예 | 기능사

comment

각종 보석원석의 특성과 연마형태를 파악하고 연마기, 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원석의 특 성과 형태에 알맞게 보석난(알)과 애완품을 일정한 각도로 연마하고 광택을 냄. 또한 귀금속에 알맞은 크기의 보석을 가공하여 끼우거나 확대경을 사용하여 불순물, 깨짐, 표면상태, 규격 등을 검사.

우리 나라에서 보석가공 분야는 무공해, 탈에너지, 노동집약 산업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고 1976년 이리에 귀금속 보석 공업단지를 설립함으로써 이 분야를 종합적으로 발전 육성시켜 왔다.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운 디자인과 고도의 가공기술축적을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의 신제품 생산에 주력할 수 있는 숙련 기능공 양성이 요구됨.

수행직무

각종 보석원석의 특성과 연마형태를 파악하고 연마기, 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원석의 특 성과 형태에 알맞게 보석난(알)과 애완품을 일정한 각도로 연마하고 광택을 냄.또한 귀금속에 알맞은 크기의 보석을 가공하여 끼우거나 확대경을 사용하여 불순물, 깨짐, 표면상태, 규격 등을 검사.

진로 및 전망

- 보석가공 및 판매업체, 장신구류제조업체 및 판매업체,귀금속공예점 등에 취업하거나 자영업을 할수 있다.- 정밀한 가공능력과 보석에 대한 예술적 감각을 가지고 있으면 자영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또한 생활 및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보석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높아 지면 재수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전북익산에 귀금속·보석가공공단을 설치하는 등 귀금속 및 보석가공산업이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됨에 따라 숙련인력의 수요는 늘어날 전망이다.그러나 보석가공의 특성상 섬세함과 꼼꼼함, 그리고 무엇 보다 미적 감각이 우선이기 때문에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절대적인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전문대학의 귀금속 공예과, 귀금속디자인가공과, 실업계 고등학교의 금은세공과 등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산하 직업전문학교④ 시험과목- 필기 : 1.보석재료 2.보석가공 3.보석감정- 실기 : 보석가공작업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 (60분)- 실기 : 작업형(3시간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보석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0명
필기응시
0명
필기합격
0명
합격률
0.0%
실기접수
11명
실기응시
11명
실기합격
10명
합격률
90.9%
2023년 보석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7명
필기응시
11명
필기합격
8명
합격률
72.7%
실기접수
26명
실기응시
25명
실기합격
25명
합격률
100.0%
2022년 보석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0명
필기응시
0명
필기합격
0명
합격률
0.0%
실기접수
14명
실기응시
13명
실기합격
13명
합격률
100.0%
2021년 보석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7명
필기응시
25명
필기합격
13명
합격률
52.0%
실기접수
21명
실기응시
19명
실기합격
19명
합격률
100.0%
2020년 보석가공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3명
필기응시
21명
필기합격
16명
합격률
76.2%
실기접수
16명
실기응시
16명
실기합격
16명
합격률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