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능사

comment

고속도로, 일반도로, 활주로 등의 건설현장에서 토사, 자갈 등을 펴거나, 거치른 표면 을 평탄하게 고르기 위하여 모우터그레이더를 운전하는 업무 수행.

모우터그레이더는 도로, 활주로, 제방 등의 건설현장에서 토사, 자갈등을 펴거나 고르는 데 주로 이용되며, 운전시 특수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따라서 모우터그레이더의 안전 운행과 기계수명 연장 및 작업능률 제고를 위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숙련기능인력 양성 이 요구되었음.

수행직무

고속도로, 일반도로, 활주로 등의 건설현장에서 토사, 자갈 등을 펴거나, 거치른 표면 을 평탄하게 고르기 위하여 모우터그레이더를 운전하는 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건설업체, 건설기계대여업체, 한국도로공사 건설기계부서, 지방자체단체의 건설기계관 리부서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도로포장용 건설기계운전기능인력의 수요는 도로건설, 포장 및 기존도로의 재포장과 보수 등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최근 물류비용 절감을 통한 산업경쟁력의 제고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국가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 도로망 확충 등을 위한 사회간접 자본투자가 증가하고 있다.또한 장기적으로는 21세기 통일 시대를 대비한 종합도로 망 구축 등이 기대된다.이에 따라 모우터그레이드 등 도로포장용 건설기계운전기능 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동시에 아직까지 다른 건설기계운전기능사에 비해 자격취득자 수도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참고로 모우터그레이드와 스크레이퍼 등록 대수의 변화를 보면, 모우터그레이더 1993년 924대, 1994년 989대, 1995년 862대, 1996년 832대, 1997년 843대, 1998년 849대, 스크레이펴 1993년 45대, 1994년 41대, 1995년 34대, 1996년 32대, 1997년 32대, 1998년 32로 약간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큰 변화는 없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훈련기관 : 건설기계 관련 일반 사설학원③ 시험과목 - 필기1. 건설기계기관 2.전기 및 작업장치3. 유압일반 4.건설기계관리법규 및 도로통행방법5. 안전관리- 실기 : 모터그레이더운전 작업 및 도로주행④ 검정기준-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 (8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0명
필기응시
0명
필기합격
0명
합격률
0.0%
실기접수
3명
실기응시
3명
실기합격
2명
합격률
66.7%
2023년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3명
필기응시
19명
필기합격
5명
합격률
26.3%
실기접수
37명
실기응시
32명
실기합격
5명
합격률
15.6%
2022년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30명
필기응시
22명
필기합격
17명
합격률
77.3%
실기접수
143명
실기응시
104명
실기합격
14명
합격률
13.5%
2021년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73명
필기응시
66명
필기합격
17명
합격률
25.8%
실기접수
154명
실기응시
130명
실기합격
32명
합격률
24.6%
2020년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02명
필기응시
92명
필기합격
52명
합격률
56.5%
실기접수
214명
실기응시
181명
실기합격
58명
합격률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