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롤러운전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능사

comment

도로, 활주로, 운동경기장, 제방 등의 지반이나 지층을 다져주기 위해서 정지명세서에 따라 흙, 돌, 자갈,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을 굳게 다지는 로울러를 운전하고 정비하 는 업무 수행.

도로포장은 사회간접시설로서 물류비용의 절감을 통한 다른 산업의 촉매작용을 하게 된 다.로울러는 이런 작업에 사용되는 포장용 건설기계 중의 하나로 땅 또는 아스팔트면 을 다지는데 쓰이며, 운전시 특수한 기술을 요한다.이에 따라 로울러의 안전운행과 기계수명 연장 및 작업능률 제고를 위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숙련기능인력 양성이 요구 되어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도로, 활주로, 운동경기장, 제방 등의 지반이나 지층을 다져주기 위해서 정지명세서에 따라 흙, 돌, 자갈,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을 굳게 다지는 로울러를 운전하고 정비하 는 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건설업체, 건설기계대여업체, 한국도로공사 건설기계부서, 지방자체단체의 건설기계관 리부서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로울러와 같은 도로포장용 건설기계운전기능인력의 수요는 도로건설, 포장 및 기존도 로의 재포장과 보수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최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사회간 접자본 확충을 위한 투자증가와 해외 건설경기의호전이 기대되고 있다.또한 1998 년 말 현재 국내 도로의 포장비율은 74.5%에 머물어 있고, 국토의 1㎢당 도로 연장 도 선진외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고 있어 도로의 수송력 강화를 위한 개발투자가 요 구되고 있다.특히 물류비용의 절감을 통한 산업경쟁력의 제고, 안전성 확보 및 장 기적으로는 21세기 통일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지속적인 도로망 확충 및 종합도로 망 구축이 필요하다.이에 따라 도로포장용 건설기계운전기능인력의 수요가 예상된 다.참고로 1993년 이후 로울러 등록대수를 보면, 1993년 3,518대, 1994년 3,819 대, 1995년 3,685대, 1996년 3,940대, 1997년 4,374대, 1998년 4,395대로 자격취득 인원보다 큰 편이고, 또한 1999년 이후 가동률도 점가 증가하고 있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훈련기관 : 보통 관련업체의 건설기계관리부서에서 무기능자로 취업한 후 도로포장 건설기계에 대한 기능가 지식을 익힌 후 시험에 응시하며, 직업훈련원이 나 일반 사설학원에는 훈련과정이 설치되어 있지 않음.③ 시험과목 - 필기 1.건설기계기관 2.전기 및 작업장치 3.유압일반4. 건설기계관리법규 및 도로통행방법 5.안전관리- 실기 : 롤러운전 작업④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 (6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하여 60점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롤러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4,453명
필기응시
3,955명
필기합격
2,957명
합격률
74.8%
실기접수
4,610명
실기응시
3,975명
실기합격
1,687명
합격률
42.4%
2023년 롤러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4,467명
필기응시
3,861명
필기합격
3,000명
합격률
77.7%
실기접수
4,507명
실기응시
3,932명
실기합격
1,697명
합격률
43.2%
2022년 롤러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3,745명
필기응시
3,215명
필기합격
2,450명
합격률
76.2%
실기접수
3,874명
실기응시
3,323명
실기합격
1,516명
합격률
45.6%
2021년 롤러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3,833명
필기응시
3,294명
필기합격
2,409명
합격률
73.1%
실기접수
3,621명
실기응시
3,201명
실기합격
1,534명
합격률
47.9%
2020년 롤러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902명
필기응시
2,414명
필기합격
1,653명
합격률
68.5%
실기접수
2,723명
실기응시
2,387명
실기합격
995명
합격률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