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운전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능사
comment
골재채취현장이나 토목현장에 덤프트럭이나 플랜트류 호퍼에 토사나 자갈 등의 재료를 적재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로우더를 운전하고, 장비를 정비하는 업무수행.
로우더는 굴착, 성토, 정지용 건설기계로 토목공사, 광산 등에서 주로 이용되며 토사나 자갈 등을 트럭에 적재하거나 이동시키는데 쓰인다.기계운전을 위해서는 특수한 기술 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로우더의 안전운행과 기계수명 연장 및 작업능률제고를 위해서 는 산업현장에 필요한 숙련기능인력 양성이 요구됨.
- 수행직무
골재채취현장이나 토목현장에 덤프트럭이나 플랜트류 호퍼에 토사나 자갈 등의 재료를 적재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로우더를 운전하고, 장비를 정비하는 업무수행.
- 진로 및 전망
- 주로 건설업체, 건설기계 대여업체 등으로 진출하며, 이외에도 광산, 항만, 시·도 건 설사업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로우더 등의 굴착, 성토, 정지용 건설기계는 건설 및 광산현장에서 주로 활용된다.국내 건설부문은 IMF관리체제 편입 이후 어려움을 겪었고 다른 부문에 비해 경기회복 도 더딘 편이다.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규모 정부정책사업(고속철도, 신 공항건설 등)의 활성화와 민간부분의 주택건설증가,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촉진 등에 의하여 꾸준한 발전이 기대된다.이에 따라 로우더 기능인력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다.하지만 매년 면허취득인원수에 비해 로우더 등록대수 증가폭이 작은 편이 어서 취업시 다소 어려움이 전망된다.참고로 1993년 이후 로우더등록현황을 보면 1993년 9,835대, 1994년 10,470대, 1995년 11,119대, 1996년 11,935대, 1997년 12,674대, 1998년 12,350대로 1998년을 제외하면 매년 증가양상을 보이고 있다.가 동률에 있어서도 1999년 이후 점차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훈련기관 : 건설기계 관련 일반 사설학원③ 시험과목 - 필기1. 건설기계기관2. 전기 및 작업장치3. 유압일반4. 건설기계관리법규 및 도로통행방법5. 안전관리- 실기 : 로더운전작업④ 검정기준-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 (3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로더운전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7,664명
- 필기응시
- 6,722명
- 필기합격
- 5,653명
- 합격률
- 84.1%
- 실기접수
- 8,893명
- 실기응시
- 7,747명
- 실기합격
- 3,564명
- 합격률
- 46.0%
2023년 로더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8,899명
- 필기응시
- 7,707명
- 필기합격
- 6,367명
- 합격률
- 82.6%
- 실기접수
- 9,496명
- 실기응시
- 8,395명
- 실기합격
- 3,940명
- 합격률
- 46.9%
2022년 로더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7,847명
- 필기응시
- 6,784명
- 필기합격
- 5,780명
- 합격률
- 85.2%
- 실기접수
- 9,165명
- 실기응시
- 7,937명
- 실기합격
- 3,878명
- 합격률
- 48.9%
2021년 로더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8,460명
- 필기응시
- 7,405명
- 필기합격
- 6,050명
- 합격률
- 81.7%
- 실기접수
- 8,812명
- 실기응시
- 7,868명
- 실기합격
- 3,923명
- 합격률
- 49.9%
2020년 로더운전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6,445명
- 필기응시
- 5,526명
- 필기합격
- 4,428명
- 합격률
- 80.1%
- 실기접수
- 7,146명
- 실기응시
- 6,371명
- 실기합격
- 3,049명
- 합격률
-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