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축산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농림어업 | 기능사

comment

축산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가축의 생산과 작업관리 및 이에 관련되는 업무를 수행 구체적으로 우유, 육류, 난류와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소 돼지, 닭, 토끼, 양, 벌과 같은 가축을 사육, 번식, 관리하는 직무 수행.

육류사용의 증가에 따른 축산업 규모의 확대와 아울러 고도의 기술이 필요함에 따라 가 축을 합리적으로 사육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함으로써 품질 좋은 축산물을 생산·공 급하고, 국제경쟁에 대처할 수 있는 축산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축산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가축의 생산과 작업관리 및 이에 관련되는 업무를 수행 구체적으로 우유, 육류, 난류와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소 돼지, 닭, 토끼, 양, 벌과 같은 가축을 사육, 번식, 관리하는 직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축산관련 협동조합, 축산물유통회사, 유가공회사, 사료회사, 축산관련공무원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농장을 경영하거나 농장에 근무하고, 자영업에 종사하기도 한다.- 동물자원은 인류의 식량자원이며, 생활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따라서 이 소중한 자원을 어떻게 관리하고 이용하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좌우된다.동물자원은 인류에게 귀중한 식품, 의류, 약품의 원료를 제공하고, 애완동물로서 현 대인에게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또한 동물산업의 대상이 소, 돼지, 닭 등의 주요 축종으로부터 모튼 동물로 확대되고 있으며, 시설자동화 및 유전공학적인 기법 에 의한 생산성의 증가와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창출을 탐색하는 등 축산 관련산업도 전문화되고 있다.국민소득이 증대됨에 따라 축산물소비량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국 민소득이 증대됨에 따라 축산물 소비량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최근 응시자와 합격자 수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농업계 고등학교 농업경영과, 축산과 등③ 시험과목- 필기 : 1.축산개론 2.사료작물 3.축산경영- 실기 : 가축관리 및 사양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60분)- 실기 : 작업형(3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득점자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축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211명
필기응시
966명
필기합격
474명
합격률
49.1%
실기접수
1,192명
실기응시
1,162명
실기합격
1,110명
합격률
95.5%
2023년 축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892명
필기응시
698명
필기합격
351명
합격률
50.3%
실기접수
902명
실기응시
884명
실기합격
843명
합격률
95.4%
2022년 축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765명
필기응시
626명
필기합격
323명
합격률
51.6%
실기접수
898명
실기응시
870명
실기합격
833명
합격률
95.7%
2021년 축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720명
필기응시
609명
필기합격
320명
합격률
52.5%
실기접수
925명
실기응시
885명
실기합격
842명
합격률
95.1%
2020년 축산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473명
필기응시
399명
필기합격
231명
합격률
57.9%
실기접수
778명
실기응시
749명
실기합격
696명
합격률
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