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전자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전기.전자 | 기능사

comment

가정용, 공업용, 각종 전자기기(텔레비전, 음향기기, 영상기기 등)를 분해, 조립, 조 정, 수리하고 공장자동화 설비의 계측제어장치설비와 조작, 보수, 관리업무 수행.

정보화사회에서 전자기술의 발전속도는 매우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산업현장의 실무에 종사할 유능한 인력을 양성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전자기기의 제작·제조, 조작, 보 수·유지업무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우수한 기술인력을 공급하고자 전자기기에 대한 지식 과 기술을 가진 사람으로 하여금 전자분야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토록 하기 위하여 자격 제도 제정.

수행직무

가정용, 공업용, 각종 전자기기(텔레비전, 음향기기, 영상기기 등)를 분해, 조립, 조 정, 수리하고 공장자동화 설비의 계측제어장치설비와 조작, 보수, 관리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산업영 및 가정용전자기기 생산업체, 전자기기 부품제조업체, 전문수리센터 등에 취업 하거나 계측기기 제조업체, 건설회사의 계전 및 계측기기 부서, 데이터통신업무를 운 용하는 업체, 컴퓨터시스템을 운용하는 업체, 자동차 및 비행기제조업체 등에 진출 할 수 있다.- 통신제품 및 전자제품의 사용증가는 제품의 생산과 함께 수리 및 보수에 관련된 인력 의 수요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전자분야는 꼭 자격증이 있어야 취업이 가능 한 분야는 아니며 전자기술만 인정되면 다른 분야보다 취업이 용이한 편이다.그러 나 안정적이고 사회적 지명도가 있는 업체에 취업하려면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유 리하다.그리고 전자기술은 그 발전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자격 증을 취득하더라도 첨단기술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노력이 필요 하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자과 , 전자제어과, 전자기계과, 제어계측과 등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공공직업훈련원, 인정직업훈련원, 일반 사설학원④ 시험과목- 필기 : 1.전기전자공학, 2.전자계산기일반, 3.전자측정, 4.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실기 : 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작업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4시간 30분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전자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709명
필기응시
2,040명
필기합격
199명
합격률
9.8%
실기접수
2,662명
실기응시
2,528명
실기합격
1,875명
합격률
74.2%
2023년 전자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402명
필기응시
1,898명
필기합격
388명
합격률
20.4%
실기접수
3,694명
실기응시
3,420명
실기합격
2,469명
합격률
72.2%
2022년 전자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2,808명
필기응시
2,270명
필기합격
526명
합격률
23.2%
실기접수
4,981명
실기응시
4,658명
실기합격
3,455명
합격률
74.2%
2021년 전자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3,346명
필기응시
2,838명
필기합격
642명
합격률
22.6%
실기접수
6,007명
실기응시
5,617명
실기합격
4,141명
합격률
73.7%
2020년 전자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3,507명
필기응시
2,924명
필기합격
692명
합격률
23.7%
실기접수
6,443명
실기응시
6,110명
실기합격
5,017명
합격률
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