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처리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재료 | 기능사
comment
각종도금에 필요한 설비의 성능, 용도, 사용법을 습득하여 정류기, 연마기, 전처리 설비, 도금조, 여과기, 도금기 등의 장비와 기자재를 이용하여 소지의 표면을 부식방지 또는 장식하거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업무 수행, 또한 도체 부도체를 도체화 시켜 각종 전기도금 및 특수도금을 할 수 있으며, 도금액 관리와 분석 및 도금의 원리 등의 이해를 통한 도금처리 수행
도금은 어떠한 제품을 만들 때 최종 공정에 해당하므로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좌우할 뿐만 아니라 성능 및 수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또한 현재는 전기도금과 특수도금을 병행하여 도금작업을 수행하고 있다.따라서 도금액 조성, 관리, 분석, 각종 화학약품과 각종 도금장치 등을 이용한 도금업무를 수행하는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 수행직무
각종도금에 필요한 설비의 성능, 용도, 사용법을 습득하여 정류기, 연마기, 전처리 설비, 도금조, 여과기, 도금기 등의 장비와 기자재를 이용하여 소지의 표면을 부식방지 또는 장식하거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업무 수행, 또한 도체 부도체를 도체화 시켜 각종 전기도금 및 특수도금을 할 수 있으며, 도금액 관리와 분석 및 도금의 원리 등의 이해를 통한 도금처리 수행
- 진로 및 전망
도금, 표면처리 업체, 자동차부품, 전자 및 전기기기부품, 반도체부품, 일반기계부품, 정밀기계부품 업체 등에서 도금작업을 담당할 수 있다.그동안 도금작업시 사용하는 약품, 가스발생 등으로 도금 업체의 상당수가 열악한 작업환경에 있었으나 품질향상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자동화를 도입하는 업체가 늘어나는 추세여서 근무여건도 점차 나아지고 있다.자격증 소지자는 산업현장에서 숙련기능인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자격증 취득시 유리한 편이고 도금업체를 자영할 수도 있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고등학교 표면처리과, 금속 및 재료 관련과③ 훈련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직업전문학교, 인정 직업훈련원 과정④ 시험과목- 필기 : 1.금속재료일반 2.전기도금 3.특수도금- 실기 : 표면처리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3시간30분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표면처리기능사 합격률
- 필기접수
- 293명
- 필기응시
- 258명
- 필기합격
- 76명
- 합격률
- 29.5%
- 실기접수
- 93명
- 실기응시
- 92명
- 실기합격
- 88명
- 합격률
- 95.7%
2023년 표면처리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88명
- 필기응시
- 148명
- 필기합격
- 43명
- 합격률
- 29.1%
- 실기접수
- 56명
- 실기응시
- 51명
- 실기합격
- 51명
- 합격률
- 100.0%
2022년 표면처리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0명
- 필기응시
- 128명
- 필기합격
- 31명
- 합격률
- 24.2%
- 실기접수
- 40명
- 실기응시
- 39명
- 실기합격
- 39명
- 합격률
- 100.0%
2021년 표면처리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40명
- 필기응시
- 109명
- 필기합격
- 29명
- 합격률
- 26.6%
- 실기접수
- 49명
- 실기응시
- 48명
- 실기합격
- 45명
- 합격률
- 93.8%
2020년 표면처리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 133명
- 필기응시
- 106명
- 필기합격
- 31명
- 합격률
- 29.2%
- 실기접수
- 50명
- 실기응시
- 45명
- 실기합격
- 38명
- 합격률
- 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