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기계가공조립기능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능사

comment

도면을 보고 부품 또는 완제품을 가지고 기계를 조립, 설치, 검사하는 주작업과 범용 공 작기계와 수공구를 사용하여 기계부품, 금형 등을 제작하는 업무 수행.

기계조립은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마지막 공정단계로 품질관리 측면에서 특히 중요하 다.이에 따라 도면해독능력과 수공구 및 각종 공작기계의 조립에 관한 전문화된 기능 을 갖춘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을 제정.

수행직무

도면을 보고 부품 또는 완제품을 가지고 기계를 조립, 설치, 검사하는 주작업과 범용 공 작기계와 수공구를 사용하여 기계부품, 금형 등을 제작하는 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공작기계, 산업기계, 일반기계, 섬유기계, 인쇄기계 등 각종 기계를 제작, 생산하는 업체와 금속제품 제조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향후 기계조립분야 인력수요는 점차적으로 감소할 전망이다.아직 수가공·범용공작 기계에 의한 기계조립이 일부 남아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CNC공작기계에 의한 작업으 로 바뀌었다.이에 따라 한번의 세팅(setting)으로 연속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무인자동화가 진행되어 노동력절감이 이루어지고 있다.따라서 종전 방식에 의한 기계조립 작업범위는 향후 주문 생산정도로 축소될 전망이다.해당 자 격을 취득하려는 응시자도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 기계공학, 기계설계공학, 기계시스템공학, 기계재료공 학, CAD전공, CAM전공 등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공공직업훈련원, 사업체내직업훈련원 및 인정직업 훈련원, 생산기술연구원부설 기술교육센터,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중소 기업연수원④ 시험과목- 필기 : 1.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2.기계재료 및 요소 3.기계제도(절삭부분)- 실기 : 기계조립 작업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4시간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기계가공조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685명
필기응시
1,516명
필기합격
711명
합격률
46.9%
실기접수
839명
실기응시
776명
실기합격
444명
합격률
57.2%
2023년 기계가공조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647명
필기응시
1,496명
필기합격
694명
합격률
46.4%
실기접수
876명
실기응시
825명
실기합격
560명
합격률
67.9%
2022년 기계가공조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395명
필기응시
1,229명
필기합격
579명
합격률
47.1%
실기접수
855명
실기응시
796명
실기합격
532명
합격률
66.8%
2021년 기계가공조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850명
필기응시
1,698명
필기합격
815명
합격률
48.0%
실기접수
973명
실기응시
901명
실기합격
620명
합격률
68.8%
2020년 기계가공조립기능사 합격률
필기접수
1,781명
필기응시
1,560명
필기합격
725명
합격률
46.5%
실기접수
1,077명
실기응시
955명
실기합격
615명
합격률
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