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기능장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능장
comment
금형제작에 관한 최상급의 숙련기능을 갖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 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주는 현장의 중간관 리등의 업무 수행.
금형이 응용되는 산업의 분야가 확대되고 관련업무도 더욱 복잡, 정밀해짐에 따라 금형 제작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제반 환경조성과 최상급의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자격을 제정.
- 수행직무
금형제작에 관한 최상급의 숙련기능을 갖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 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주는 현장의 중간관 리등의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금형제작업체, 자동화기계 및 설비업체, 자동차, 전기 및 전기기기생산업체, 각종 기 구설계 등 기계 및 금속제품 생산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이외 직업능력개발훈 련교사로도 진출할 수 있다.- 금형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전기·전자제품을 비롯하여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 기 등의 수송기계와 반도체·통신기기, 산업기계, 정밀기계, 광학기기, 농업·건축용 기기, 완구 등을 제조하는데 필수적으로 이용되는 만큼 그 용도는 실로 광범위하고 다양하다.이와 더불어 금형분야에서 CAD/CAM 시스템 도입에 의한 자동화와 자동 차, 가전제품, 완구류 등 제품의 모델 수명의 단축에 따른 개발기간의 단축, 원가절 감을 위한 공정개선, 제품의 고정밀도화가 요구되고 있다.이에 따라 오랜 실무 경 험을 통해 고도의 숙련기능을 갖춘 전문기능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금형과③ 훈련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산하 직업훈련원의 프레스금형 및 사출금형 과정, 공공직업훈련원, 인정직업훈련원의 프레스금형 직업훈련과정, 생산기술 연구원 부설 기술교육센터의 금형과, 정밀측정과 과정④ 시험과목- 필기 : 금형공작법, 금형설계, 기계재료 및 열처리, CAD/CAM, 자동화생산시스템 및 측정, 공유압, 치공구,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 실기 : 금형제작 실무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12시간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금형기능장 합격률
- 필기접수
- 149명
- 필기응시
- 135명
- 필기합격
- 44명
- 합격률
- 32.6%
- 실기접수
- 50명
- 실기응시
- 48명
- 실기합격
- 33명
- 합격률
- 68.8%
2023년 금형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125명
- 필기응시
- 112명
- 필기합격
- 41명
- 합격률
- 36.6%
- 실기접수
- 47명
- 실기응시
- 46명
- 실기합격
- 34명
- 합격률
- 73.9%
2022년 금형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97명
- 필기응시
- 85명
- 필기합격
- 36명
- 합격률
- 42.4%
- 실기접수
- 42명
- 실기응시
- 40명
- 실기합격
- 24명
- 합격률
- 60.0%
2021년 금형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41명
- 필기응시
- 39명
- 필기합격
- 15명
- 합격률
- 38.5%
- 실기접수
- 23명
- 실기응시
- 22명
- 실기합격
- 10명
- 합격률
- 45.5%
2020년 금형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 54명
- 필기응시
- 44명
- 필기합격
- 24명
- 합격률
- 54.5%
- 실기접수
- 24명
- 실기응시
- 23명
- 실기합격
- 12명
- 합격률
-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