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기계가공기능장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능장

comment

선반, 연삭, 밀링, 기어절삭 등 기계가공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의 업무 수행.

기존 중화학공업의 육성책에 따라 기계가공을 비롯한 기계관련산업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다.기계가공은 기계제조 전반에 걸친 매우 중요한 공정으로 생산시설이 자동화됨에 따라 더 많은 숙련기능인력을 필요로 하게되었다.이에 따라 기계가공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제반 환경조성과최상급의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을 제정.

수행직무

선반, 연삭, 밀링, 기어절삭 등 기계가공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의 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금속제품 제조업체, 농업, 건설, 섬유기계 등 일반기계 제조업체, 자동차, 항공기, 선박, 철도차량, 정밀기계 제조업체 및 설비업체 등 광범위한 분야 로 진출하게 된다.이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로도 진출할 수 있다.- 국내 기계가공 및 조립분야는 우수한 기술인력을 바탕으로 기술축적이 이루어졌고, 독자적인 모델개발이 가능한 정도로 발전하였다.특히 이 분야는 숙련기능을 갖춘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고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진 기능장의 수요가 더욱 늘어갈 전망이다.그렇지만 컴퓨터를 이용한 CAD/CAM의 도입으로 자동화가 진척될 것으로 보여, 자격취득 후에도 변화하는 새로운 기능을 습득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의 기계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공공직업훈련원, 사업체내직업훈련원 및 인정직업훈련원, 생산기술연구원부설 기술교육센터,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중소기업연수원④ 시험과목- 필기 : 절삭기계가공법, 공유압, 치공구,CAD/CAM, 절삭재료, 자동화 생산시스템 및 측정,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 실기 : 기계가공 실무⑤ 검정방법- 필기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 : 작업형(8시간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기계가공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614명
필기응시
546명
필기합격
281명
합격률
51.5%
실기접수
377명
실기응시
345명
실기합격
164명
합격률
47.5%
2023년 기계가공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716명
필기응시
632명
필기합격
311명
합격률
49.2%
실기접수
415명
실기응시
379명
실기합격
193명
합격률
50.9%
2022년 기계가공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465명
필기응시
412명
필기합격
218명
합격률
52.9%
실기접수
367명
실기응시
347명
실기합격
148명
합격률
42.7%
2021년 기계가공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472명
필기응시
421명
필기합격
230명
합격률
54.6%
실기접수
306명
실기응시
283명
실기합격
114명
합격률
40.3%
2020년 기계가공기능장 합격률
필기접수
447명
필기응시
398명
필기합격
198명
합격률
49.7%
실기접수
321명
실기응시
284명
실기합격
125명
합격률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