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금제관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 재료 | 기사
comment
판금제관용 기계나 공구를 사용하여 연강판(박판, 후판), 형강, 파이프 등의 재료를 도면의 규격에 따라 소정의 형상 및 치수의 제품을 제작 할 수 있도록 전개도작성, 절단, 성형, 용접, 다듬질, 조립 등 일련의 작업을 통하여 보일러, 강판, 철구조물 및 저장 용기류 등을 제작하는데 있어 복합적이고 지도적인 기능업무 수행를 수행한다.
판금제관공업은 기계, 자동차, 조선, 건설, 화학, 해양 등의 관련산업에 서 연관된 설비 또는제품을 제작, 제조, 공급하는 산업으로서 관련 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있다.이와 같은 각종산업의 설치물 또는 제품 제작의 재료소재인 제관산업의 발전을 위한 제반 환경을 조성하고전문화된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판금산업기사와 제관산업기사를 통합하여 제정.
- 수행직무
판금제관용 기계나 공구를 사용하여 연강판(박판, 후판), 형강, 파이프 등의 재료를 도면의 규격에 따라 소정의 형상 및 치수의 제품을 제작 할 수 있도록 전개도작성, 절단, 성형, 용접, 다듬질, 조립 등 일련의 작업을 통하여 보일러, 강판, 철구조물 및 저장 용기류 등을 제작하는데 있어 복합적이고 지도적인 기능업무 수행를 수행한다.
- 진로 및 전망
주로 강관, 보일러, 저장용기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 선박조립 및 부속 구조물제작,플랜트 건설 등에서 판금제관을 사용하는 업체에 진출할 수 있다.판금제관분야는 향후 고도의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노동력 절감을 위한 기술개발과 시설의 자동화, 고속 대량생산화 및 제품의 다양화, 고급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인력수요가 그리 많지 않을 전망이다.그렇지만 숙련기능을 지닌 전문인력이 많지 않기 때문에 이들 인력에 대한 수요는 꾸준할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시험과목 - 필기1. 판금제관재료, 공구 및 기계2. 판금제관공작법3. 기계제도 및 용접일반- 실기 : 판금제관 작업③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작업형(6시간 정도)④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판금제관산업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1명
- 실기응시
- 1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3년 판금제관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27명
- 필기응시
- 22명
- 필기합격
- 9명
- 합격률
- 40.9%
- 실기접수
- 6명
- 실기응시
- 6명
- 실기합격
- 3명
- 합격률
- 50.0%
2022년 판금제관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0명
- 필기응시
- 0명
- 필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 실기접수
- 2명
- 실기응시
- 2명
- 실기합격
- 1명
- 합격률
- 50.0%
2021년 판금제관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3명
- 필기응시
- 10명
- 필기합격
- 2명
- 합격률
- 20.0%
- 실기접수
- 2명
- 실기응시
- 2명
- 실기합격
- 0명
- 합격률
- 0.0%
2020년 판금제관산업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명
- 필기응시
- 9명
- 필기합격
- 4명
- 합격률
- 44.4%
- 실기접수
- 5명
- 실기응시
- 4명
- 실기합격
- 2명
- 합격률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