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국가기술자격 | 화학 | 기사
comment
생물공학분야의 지식을 바탕으로 각종 생물공학기술을 이용한 의약, 화학, 식품 등 새로 운 생물산업제품을 개발하여 생산하거나 기존의 생산공정을 생물공정으로 개선하는 등 의업무를 수행.
생물공학은 의약, 화학, 환경, 식품, 에너지 및 자원, 농업 및 해양, 생산공정 및 엔지 니어링, 검정 및 측정 시스템에 이륵 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이에 따라 생물공학분야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생물공정기술의 개발과 생물제품의 생산을 담당하게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춘 인력양성이 요구됨에 따라 자 격 제도 제정.
- 수행직무
생물공학분야의 지식을 바탕으로 각종 생물공학기술을 이용한 의약, 화학, 식품 등 새로 운 생물산업제품을 개발하여 생산하거나 기존의 생산공정을 생물공정으로 개선하는 등 의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 주로 생물산업 관련 업체(의약품 제조업체, 화학제품 제조업체, 식품 제조업체, 바이 오벤처기업 등)의 개발부서나 생산부서로 진출하거나, 연구소나 정부기관으로 진출할 수 있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는 국가경쟁력 확보의 관건이 기술혁신에 있다는 인식아래 생물공 학분야를 미래선도기술로 지정하여 거국적 차원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국내에서도 생물공학은 산업체뿐만 아니라 정부 및 학계에서도 관심이 매우 높고 범정부적 차원 에서의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동시에 생물공학기술이 적용되는 분야도 매우 다양 하여 초고속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생활수준의 향상과 복지부문에 대한 관심증가, 환경친화적 제품개발에 대한 요구 등으로 생물공학제품에 대한 인력 수요 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반면 국내에는 아직 연구개발성과를 생물공정기술에 접목 하거나 새로운 생물제품생산으로 연계시킬 전문지술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인력 양 성이 필요하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생물공학, 생명공학, 유전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미생물공학2. 배양공학3. 생물반응공학4. 생물분리공학5. 생물공학개론- 실기 : 생물공정 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2시간) + 작업형(3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1,417명
- 필기응시
- 1,036명
- 필기합격
- 517명
- 합격률
- 49.9%
- 실기접수
- 512명
- 실기응시
- 489명
- 실기합격
- 333명
- 합격률
- 68.1%
2023년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141명
- 필기응시
- 833명
- 필기합격
- 457명
- 합격률
- 54.9%
- 실기접수
- 460명
- 실기응시
- 444명
- 실기합격
- 339명
- 합격률
- 76.4%
2022년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959명
- 필기응시
- 784명
- 필기합격
- 391명
- 합격률
- 49.9%
- 실기접수
- 389명
- 실기응시
- 374명
- 실기합격
- 301명
- 합격률
- 80.5%
2021년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884명
- 필기응시
- 722명
- 필기합격
- 355명
- 합격률
- 49.2%
- 실기접수
- 315명
- 실기응시
- 300명
- 실기합격
- 236명
- 합격률
- 78.7%
2020년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64명
- 필기응시
- 382명
- 필기합격
- 129명
- 합격률
- 33.8%
- 실기접수
- 103명
- 실기응시
- 98명
- 실기합격
- 82명
- 합격률
-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