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사
국가기술자격 | 건설 | 기사
comment
공사현장의 흙을 채취하여 여러가지 항목에 걸쳐 검사를 실시한 후 토질이 예정된 공사 에 적합한가, 혹은 적절하지 못하다면 어떤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를 조사 하며, 교량, 항만, 도로, 건물 등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자갈, 모래, 아스팔트, 콘 크리트 등의 품질을 배합설계도대로 강도에 일치하게 하기 위하여 혼합비율을 결정하 고 공시체를 제작하여 강도시험을 하고 견본자재를 검사하는 업무수행.
부실공사에 의한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건설현장의 기초 공사에 필요한 토질검사를 실시하고, 배합설계도의 강도와 일치하는 건설재료를 사용 하고 있는가를 검사하여 건물이나 시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 요 구 되어 자격 제도 제정.
- 수행직무
공사현장의 흙을 채취하여 여러가지 항목에 걸쳐 검사를 실시한 후 토질이 예정된 공사 에 적합한가, 혹은 적절하지 못하다면 어떤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를 조사 하며, 교량, 항만, 도로, 건물 등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자갈, 모래, 아스팔트, 콘 크리트 등의 품질을 배합설계도대로 강도에 일치하게 하기 위하여 혼합비율을 결정하 고 공시체를 제작하여 강도시험을 하고 견본자재를 검사하는 업무수행.
- 진로 및 전망
- 건설업체 품질관리부서, 건설교통부 지정 품질검사전문기관, 건설재료시험 관련 연구 소, 콘크리트파일 등 건설자재 생산공장, 레미콘 및 아스콘 생산업체 등으로 진출 할 수 있다.- 건설재료시험기사의 고용은 건설경기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제통화기금 관리 체제 이후에 공사량이 감소하면서 신규취업은 물론이고 기존 취업자도 고용이 불안정 한 형편이었다.그러나 중급기술 정도의 시험원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으로 향후 경 쟁체제에 의한 건설 고품질화가 계속 추진되고, 건설기술관리법도 더욱 강화될 것이 므로 숙련된 건설재료시험기사에 대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토목공학, 건축공학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콘크리트공학2. 건설시공 및 관리3. 건설재료 및 시험4. 토질 및 기초- 실기 : 토질 및 건설재료 시험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2시간) + 작업형(3시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건설재료시험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5,380명
- 필기응시
- 2,894명
- 필기합격
- 1,236명
- 합격률
- 42.7%
- 실기접수
- 1,677명
- 실기응시
- 1,359명
- 실기합격
- 855명
- 합격률
- 62.9%
2023년 건설재료시험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5,942명
- 필기응시
- 3,221명
- 필기합격
- 1,295명
- 합격률
- 40.2%
- 실기접수
- 1,587명
- 실기응시
- 1,371명
- 실기합격
- 1,020명
- 합격률
- 74.4%
2022년 건설재료시험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857명
- 필기응시
- 2,808명
- 필기합격
- 1,097명
- 합격률
- 39.1%
- 실기접수
- 1,370명
- 실기응시
- 1,191명
- 실기합격
- 803명
- 합격률
- 67.4%
2021년 건설재료시험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4,386명
- 필기응시
- 2,725명
- 필기합격
- 1,039명
- 합격률
- 38.1%
- 실기접수
- 1,341명
- 실기응시
- 1,159명
- 실기합격
- 853명
- 합격률
- 73.6%
2020년 건설재료시험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2,770명
- 필기응시
- 1,852명
- 필기합격
- 797명
- 합격률
- 43.0%
- 실기접수
- 1,118명
- 실기응시
- 905명
- 실기합격
- 569명
- 합격률
- 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