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공조냉동기계기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사

comment

냉동고압가스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 냉동기계와 공기조화설비를 운용하는 사업체에 서 고압가스 및 냉동기의 제조공정을 관리하거나, 위해(危害)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규 정의 시행, 냉동 및 공기조화설비의 시공, 유지, 보수 등에 관한 업무 수행.

공조냉동기술은 산업분야에 따라 활용범위와 응용범위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취 급하는 공조냉동기계의 종류, 규모 및 피냉각물의 종류도 다양하다.이에 따라 냉동 과 공기조화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공정, 기계 및 기술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인 기술인력 배출이 요구됨.

수행직무

냉동고압가스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 냉동기계와 공기조화설비를 운용하는 사업체에 서 고압가스 및 냉동기의 제조공정을 관리하거나, 위해(危害)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규 정의 시행, 냉동 및 공기조화설비의 시공, 유지, 보수 등에 관한 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주로 각종 공사(주택, 토지개발, 도로, 가스안전, 가스), 냉동고압가스업체, 냉난 방 및 냉동장치 제조업체, 공조냉동설비관련 업체, 저온유통업체, 식품냉동업체등으 로 진출한다.일부는 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엔지니어링업체, 정부기관 등으로 진출하고 있다.「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기술인력,「고 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해 냉동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의 안전관리책임자,「건설 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 등으로 고용될 수 있다.- 공조냉동기술은 주로 제빙, 식품저장 및 가공분야 외에 경공업, 중화학공업분야, 의학, 축산업, 원자력공업 및 대형건물의 냉난방시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 에 응용되고 있다.또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냉난방 설비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이에 따라 공조냉동기계를 설계하거나 기능인력을 지도,감독해야 할 기술인력에 대 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공조냉동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은 자격응시인원의 증가 로 이어지고 있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냉동공조공학, 기계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기계열역학2. 냉동공학3. 공기조화4. 전기제어공학5. 배관일반- 실기 : 냉동 및 냉난방설계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필답형 (2시간 30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전으로 하여 60점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공조냉동기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6,621명
필기응시
9,918명
필기합격
4,347명
합격률
43.8%
실기접수
8,544명
실기응시
7,092명
실기합격
1,907명
합격률
26.9%
2023년 공조냉동기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5,163명
필기응시
8,757명
필기합격
3,223명
합격률
36.8%
실기접수
5,552명
실기응시
4,631명
실기합격
1,908명
합격률
41.2%
2022년 공조냉동기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9,545명
필기응시
6,022명
필기합격
2,051명
합격률
34.1%
실기접수
5,345명
실기응시
4,288명
실기합격
1,503명
합격률
35.1%
2021년 공조냉동기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0,546명
필기응시
6,965명
필기합격
3,425명
합격률
49.2%
실기접수
7,086명
실기응시
5,955명
실기합격
1,813명
합격률
30.4%
2020년 공조냉동기계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7,757명
필기응시
5,640명
필기합격
2,707명
합격률
48.0%
실기접수
6,880명
실기응시
5,438명
실기합격
1,268명
합격률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