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국가기술자격 | 안전관리 | 기사

comment

검사대상물이 와전류비파괴검사가 가능한지 판별한 후 검사절차를 계획하고 검사결과 에 대한 판정을 하며 보고서를 기록·유지하는 등 비파괴검사전반을 관리 및 감독. 또 한 검사방법을 시범·지도하며 검사와 관련된 안전관리 및 교육을 실시.

제품검사방법의 하나로 비파괴검사가 개발되면서 시험체에 흐르는 와전류의 변화를 검 출함으로써 시험체에 존재하는 결함을 발견하는 와전류비파괴검사가 활성화되기 시작하 였다.이에 와전류비파괴검사에 대한 공학기초지식과 실무경험을 소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검사대상물이 와전류비파괴검사가 가능한지 판별한 후 검사절차를 계획하고 검사결과 에 대한 판정을 하며 보고서를 기록·유지하는 등 비파괴검사전반을 관리 및 감독.또 한 검사방법을 시범·지도하며 검사와 관련된 안전관리 및 교육을 실시.

진로 및 전망

- 비파괴검사전문용역업체, 공인검사기관, 자체검사시설을 갖춘 조선소, 정유회사, 유류 저장시설 시공업체, 가스용기제작업체, 보일러제조회사, 항공산업체의 비파괴검사부 서, 혹은 각종 업체의 품질관리부서에 진출할 수 있다.- 방사선비파괴검사, 초음파비파괴검사 등 여타의 비파괴검사방법보다는 적용범위와 활 용도가 낮은 편이지만 비파괴검사전문용역업체의경우 각 분야별로 고루 숙련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해당 분야의 자격증을 소지한 인력을 채용시 우대한다.그러므 로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용이한 편이다.또한 자격증 취득 후 「건설기술관리법」 에 의해 용접 품질검사전문기관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될 수도 있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물리, 기계, 화공, 전자, 전기, 금속, 재료, 에너지, 조선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일반 사설학원④ 시험과목 - 필기1. 와전류탐상시험원리2. 와전류탐상검사3. 와전류탐상관련규격 및 컴퓨터활용4. 금속재료학5. 용접일반- 실기 : 와전류탐상시험⑤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 + 작업형(1시간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93명
필기응시
131명
필기합격
97명
합격률
74.0%
실기접수
112명
실기응시
101명
실기합격
54명
합격률
53.5%
2023년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75명
필기응시
110명
필기합격
87명
합격률
79.1%
실기접수
121명
실기응시
110명
실기합격
52명
합격률
47.3%
2022년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66명
필기응시
120명
필기합격
87명
합격률
72.5%
실기접수
113명
실기응시
93명
실기합격
38명
합격률
40.9%
2021년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247명
필기응시
187명
필기합격
101명
합격률
54.0%
실기접수
131명
실기응시
116명
실기합격
62명
합격률
53.4%
2020년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65명
필기응시
138명
필기합격
103명
합격률
74.6%
실기접수
111명
실기응시
102명
실기합격
50명
합격률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