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기사
국가기술자격 | 안전관리 | 기사
comment
산업위생관리기사는 분진측정기, 소음측정기, 진동측정기 등의 각종 측정기기를 사용 하여 사업장내 유해위험과 작업환경을 측정하고, 제반 문제점을 개선·개량·감독한다. 또한 작업자에게 산업위생보건에 관한 지도 및 교육을 실시하는 업무 수행.
산업장에서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과 근로자의 건강보호 및 증진을 위하여 작업과정 이나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물리적, 인체공학적 혹은 생물학적 유해요인을 측정·평가하여 관리, 감소 및 제거할 수 있는 고도의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게 됨.
- 수행직무
산업위생관리기사는 분진측정기, 소음측정기, 진동측정기 등의 각종 측정기기를 사용 하여 사업장내 유해위험과 작업환경을 측정하고, 제반 문제점을 개선·개량·감독한다.또한 작업자에게 산업위생보건에 관한 지도 및 교육을 실시하는 업무 수행.
- 진로 및 전망
- 환경 및 보건관련 공무원, 각 산업체의 보건관리자, 작업환경 측정업체 등으로 진출 할 수 있다.- 종래 직업병 발생 등 사회문제가 야기된 후에야 수습대책을 모색하는 사후관리차원 에서 벗어나 사전의 근본적 관리제도를 도입, 산업안전보건사항에 대한 국제적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인증제도의 정착, 질병발생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산업안전보건법」 제6차 개정)를 신설, 산업인구 의 중·고령화와 과중한 업무 및 스트레스 증가 등 작업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신체부 담작업 관련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 질병이 점차 증가, 물론 유기용제 등 유 해 화학물질 사용 증가에 따른 신종직업병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는 등 증가 요인으로 인하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자격취득자의 고용은 증가할 예정이나 사업주 에 대한 안전·보건관련 행정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를 인하여 공공부문 보다 민간부 문에서 인력수요를 증가할 것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보건관리학, 보건위생학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필기1. 산업위생학개론2.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3. 작업환경관리대책4. 물리적유해인자관리5. 산업독성학- 실기 : 작업환경관리 실무④ 검정방법-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필답형(3시간)⑤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산업위생관리기사 합격률
- 필기접수
- 20,231명
- 필기응시
- 12,197명
- 필기합격
- 5,925명
- 합격률
- 48.6%
- 실기접수
- 10,119명
- 실기응시
- 8,354명
- 실기합격
- 3,926명
- 합격률
- 47.0%
2023년 산업위생관리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6,852명
- 필기응시
- 10,554명
- 필기합격
- 5,084명
- 합격률
- 48.2%
- 실기접수
- 6,609명
- 실기응시
- 5,598명
- 실기합격
- 3,274명
- 합격률
- 58.5%
2022년 산업위생관리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11,131명
- 필기응시
- 7,027명
- 필기합격
- 3,343명
- 합격률
- 47.6%
- 실기접수
- 5,517명
- 실기응시
- 4,613명
- 실기합격
- 2,630명
- 합격률
- 57.0%
2021년 산업위생관리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8,020명
- 필기응시
- 5,474명
- 필기합격
- 2,825명
- 합격률
- 51.6%
- 실기접수
- 3,940명
- 실기응시
- 3,316명
- 실기합격
- 1,967명
- 합격률
- 59.3%
2020년 산업위생관리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 5,688명
- 필기응시
- 4,203명
- 필기합격
- 2,088명
- 합격률
- 49.7%
- 실기접수
- 3,764명
- 실기응시
- 2,964명
- 실기합격
- 1,801명
- 합격률
- 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