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전자계산기기사

국가기술자격 | 전기.전자 | 기사

comment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 주변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 및 보조기억장치들의 성능을 향 상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설계하고 설치 및 운용하는 업무 수행.

정부차원에서 컴퓨터산업을 육성 발전시키기 위한 제반 환경을 조성하고 있고 업계에서 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저가격의 고성능 컴퓨터 개발에 박차를 가함 에 따라 전자회로와 기계적인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설계할 수 있 는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자격제도 시행.

수행직무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 주변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 및 보조기억장치들의 성능을 향 상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설계하고 설치 및 운용하는 업무 수행.

진로 및 전망

- 컴퓨터제조회사, 정보처리업체, 컴퓨터시스템 개발업체, 전자계산기 생산업체 및 판매 업체, 전자계산기의 주변장치 개발업체에 취업하거나 그 외 데이터 통신을 운영하는 기업체 및 공공기관에 취업할 수 있다.또한 경력을 인정받으면 업체를 직접 운영하 기도 한다.- 정보화사회의 핵심기제로서 컴퓨터는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전산화, 자동화 에 따른 다양한 하드웨어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따라서 컴퓨터에 관한 지 식과 기술을 겸비한 전문 인력의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특히 하드웨 어 분야의 유지, 보수, 관리업무를 담당할 인력의 필요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 다.산업자원부의 자료에 따르면 컴퓨터의 경우 1997~2008년간 연평균 8.5%의 생산 증가가 예상되는데, 이는 고성능 주변기기 중심의 수출경쟁력 회복, 행망용 및 교육 망용 국내시장의 수요확대, 정부의 정보화 투자 촉진 등의 요인에 의해 이루어질 것 으로 전망하고 있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전자공학, 전자계산공학, 전자컴퓨터공학, 컴퓨터공학 등 관련학과③ 훈련기관 : 일반사설학원④ 시험과목 - 필기1. 시스템프로그래밍2. 전자계산기구조3. 마이크로전자계산기4. 논리회로5. 데이터통신- 실기 : 전자계산기설계 및 응용⑤ 검정방법- 필기 : 과목당 객관식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 복합형[필답형(2시간) + 작업형(3시간 정도)]⑥ 합격기준-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전자계산기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165명
필기응시
119명
필기합격
59명
합격률
49.6%
실기접수
111명
실기응시
69명
실기합격
13명
합격률
18.8%
2023년 전자계산기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362명
필기응시
221명
필기합격
123명
합격률
55.7%
실기접수
142명
실기응시
111명
실기합격
10명
합격률
9.0%
2022년 전자계산기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382명
필기응시
233명
필기합격
110명
합격률
47.2%
실기접수
137명
실기응시
106명
실기합격
69명
합격률
65.1%
2021년 전자계산기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306명
필기응시
204명
필기합격
112명
합격률
54.9%
실기접수
137명
실기응시
112명
실기합격
68명
합격률
60.7%
2020년 전자계산기기사 합격률
필기접수
210명
필기응시
139명
필기합격
71명
합격률
51.1%
실기접수
99명
실기응시
74명
실기합격
20명
합격률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