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전자응용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전기.전자 | 기술사

comment

전자응용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가전제품, 의료장비, 통신장 비, 방송장비, 자동차, 비행기, 전동차 등 각종 전자장비, 전자기기, 전자재료의 설계 및 시공, 감리업무 수행. 또한 이와 관련한 기술자문 및 기술지도 담당.

세계 유수의 전자공업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하여 전자산업에 우수한 기술인력을 공급하고 자 전자기기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풍부한 실무경험을 가진 인력의 양성이 필 요하게 됨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

전자응용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가전제품, 의료장비, 통신장 비, 방송장비, 자동차, 비행기, 전동차 등 각종 전자장비, 전자기기, 전자재료의 설계 및 시공, 감리업무 수행.또한 이와 관련한 기술자문 및 기술지도 담당.

진로 및 전망

- 전자제품 및 기기제조업체, 계측기기제조업체, 건설회사의 계전 및 계측기기 부서, 데 이터통신업무를 운용하는 업체, 컴퓨터 시스템을 운용하는 업체, 자동차 및 비행기제 조업체, 공공기관 등에 진출할 수 있다.또는 전자 및 통신관련 연구소에서 연구원 으로서 연구개발업무를 담당하기도 한다.- 최근 국가경쟁력을 결정짓는 요소로서 기술력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고 신기술경 쟁체제를 바탕으로 지식기반 경제체제를 얼마나 빨리 구축하는가에 따라 정보화의 수 준이 판가름난다.정보화의 진전과 정보통신산업의 발달로 전자기술분야는 거의 모 든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따라서 관련분야에서 고도의 지식과 실무경 험을 소지한 전문가의 수요는 꾸준할 전망이다.특히 전자산업은 연구개발을 통해 부가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전문인력에 대한 투자와 지원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전기전자공학, 전자공학, 제어계측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전자재료, 전자기기, 음향영상기기의 설계, 제조 및 관리기술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정도)⑤ 합격기준- 필기·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년도별 합격률
2024년 전자응용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32명
필기응시
24명
필기합격
6명
합격률
25.0%
실기접수
13명
실기응시
13명
실기합격
2명
합격률
15.4%
2023년 전자응용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12명
필기응시
10명
필기합격
0명
합격률
0.0%
실기접수
11명
실기응시
11명
실기합격
2명
합격률
18.2%
2022년 전자응용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15명
필기응시
11명
필기합격
11명
합격률
100.0%
실기접수
14명
실기응시
14명
실기합격
2명
합격률
14.3%
2021년 전자응용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15명
필기응시
13명
필기합격
4명
합격률
30.8%
실기접수
8명
실기응시
8명
실기합격
4명
합격률
50.0%
2020년 전자응용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17명
필기응시
12명
필기합격
3명
합격률
25.0%
실기접수
5명
실기응시
5명
실기합격
1명
합격률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