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기술사
국가기술자격 | 기계 | 기술사
comment
자동차에 관한 공학원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구조재·모터·변속기 및 기타 자동차 관 련 설비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을 설계하거나 개발하며, 자동차의 성능, 경제성, 안전 성 등 전 분야에 대한 연구, 분석, 시험, 운영, 평가 또는 이에 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자동차에 관한 기계공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공정, 기계 및 기술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 할 수 있는 고도의 전문지식과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자격 을 제정.
- 수행직무
자동차에 관한 공학원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구조재·모터·변속기 및 기타 자동차 관 련 설비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을 설계하거나 개발하며, 자동차의 성능, 경제성, 안전 성 등 전 분야에 대한 연구, 분석, 시험, 운영, 평가 또는 이에 대한 지도, 감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 진로 및 전망
- 자동차생산업체나 교통안전진흥공단, 정부기관, 연구소, 학계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자동차산업은 고도의 첨단기술을 요하는 기술집약산업으로 향후에도 지속적인 발전 이 기대되는 분야이다.동시에 생산업체의 다양한 신차종 출시 및 자동차 수요 증가 도 기대된다.참고로 1990년 이후 자동차생산은 1998년 (마이너스성장기록)을 제외 하면 평균 12%이상의 생산성 향상을 보였다.특히 자동차수요층의 다양화 시장구조 의 변화, 국내·외 자동차생산업체간 치열한 경쟁은 새로운 자동차를 끊임없이 개발 하도록 유인하게 될 것이다.동시에 환경문제를 고려한 배기가스의 감축, 대체에너 지용 엔진개발, 리사이클링 등 자동차 관련 기술력을 선진국수준으로 높임으로써 차 세대형 자동차 개발을 하기 위해서도 보다 많은 전문기술인력이 필요할 전망이다.또한 기술사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엔지니어 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하는데도 매 우 유리할 전망이다.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② 관련학과 : 대학의 기계공학, 자동차공학, 자동차기계공학, 기관공학 등 관련학과③ 시험과목 - 자동차, 전기차량, 디젤차량 및 내연기관 기타 차량에 관한 설계, 제조, 관리기술에 관한 사항.④ 검정방법-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 : 구술형 면접 (30분 정도)⑤ 합격기준- 필기·면접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년도별 합격률
- 2024년 차량기술사 합격률
- 필기접수
- 97명
- 필기응시
- 71명
- 필기합격
- 10명
- 합격률
- 14.1%
- 실기접수
- 34명
- 실기응시
- 34명
- 실기합격
- 12명
- 합격률
- 35.3%
2023년 차량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82명
- 필기응시
- 66명
- 필기합격
- 19명
- 합격률
- 28.8%
- 실기접수
- 39명
- 실기응시
- 39명
- 실기합격
- 10명
- 합격률
- 25.6%
2022년 차량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98명
- 필기응시
- 82명
- 필기합격
- 7명
- 합격률
- 8.5%
- 실기접수
- 24명
- 실기응시
- 24명
- 실기합격
- 4명
- 합격률
- 16.7%
2021년 차량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103명
- 필기응시
- 90명
- 필기합격
- 7명
- 합격률
- 7.8%
- 실기접수
- 36명
- 실기응시
- 36명
- 실기합격
- 14명
- 합격률
- 38.9%
2020년 차량기술사 합격률- 필기접수
- 95명
- 필기응시
- 81명
- 필기합격
- 19명
- 합격률
- 23.5%
- 실기접수
- 54명
- 실기응시
- 54명
- 실기합격
- 17명
- 합격률
-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