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패스] 직업상담사 2급 실기(직업상담 실무)](https://media.invione.com/ctsimages/U25082100161/U25082100161.jpg)
[원패스] 직업상담사 2급 실기(직업상담 실무)
- 지원유형
- 평생교육이용권
- 학습기간 수료여부 관계없이 복습 12개월 추가 제공
- 수료기준 진도 80% 이상
comment
국가 경쟁력 향상과 개인의 직업 선택을 지원하는 직업상담사 2급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 과정입니다.최근 변화하는 노동 시장과 청년실업, 중·고령자의 재진입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맞춰, 직업 선택과 전직을 돕는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이 과정은 그러한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이론과 실무 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여러분이 직업상담사로서의 역할을 완벽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 직업상담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2. 직업상담사 관련 용어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다.3. 직업상담사 2급 자격 취득을 위하여 이론을 이해할 수 있다.
1. 제1장 직업상담 진단(01. 진단 실시 결정하기1)2. 제1장 직업상담 진단(01. 진단 실시 결정하기2)3. 제1장 직업상담 진단(02. 진단하기~04. 진단 결과 보고서 작성하기)4. 제2장 직업상담 초기면담(01. 친밀교감 형성하기~02. 호소 논점 파악하기)5. 제2장 직업상담 초기면담(03. 구조화 하기~04. 전력 수립하기1)6. 제2장 직업상담 초기면담(04. 전력 수립하기2~05. 초기면담 종결하기)7. 제3장 진로상담(01. 진로논점 파악하기~03. 직업정보 탐색 지원하기)8. 제3장 진로상담(04. 진로계획 지원하기)9. 제3장 진로상담(05. 진로계획 실행 지원하기)10. 제4장 취업상담(01. 내담자 구직역량 파악하기~03. 구인처 확보하기)11. 제5장 직업복귀상담(01. 직업복귀 동기 파악하기~02. 진로자본 파악하기)12. 제5장 직업복귀상담(03. 직업복귀 목표 설정하기~05. 활동 계획 평가하기)13. 제5장 직업복귀상담(06. 직업복귀 사후관리하기)~제6장 직업훈련상담(01. 내담자 직무역량 파악하기~02. 훈련과정 선택 지원하기)14. 제7장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01. 대상자 특성 파악하기~02.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하기1)15. 제7장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02.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하기2~03.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하기)16. 제7장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04. 집단상담 프로그램 평가하기)~제8장 직업상담 행정(01. 직업상담 인력 관리하기)17. 제8장 직업상담 행정(02. 직업상담 실적 관리하기~05. 전산망 관리하기)18. 제9장 취업지원행사 운영(01. 행사 범위 결정하기~02. 행사 계획하기)19. 제9장 취업지원행사 운영(03. 행사 홍보하기~04. 행사 운영하기1)20. 제9장 취업지원행사 운영(04. 행사 운영하기2~05. 행사 평가하기)21. 제10장 직업상담서비스 협업체계 구축(01. 협업범위 정하기)22. 제10장 직업상담서비스 협업체계 구축(02. 협업체계 구축하기~03. 협업체계 운영하기1)23. 제10장 직업상담서비스 협업체계 구축(03. 협업체계 운영하기2~04. 협업체계 운영 평가하기)24. 제11장 직업정보 수집(01. 직업정보 수집 계획하기)25. 제11장 직업정보 수집(02. 직업정보 수집 실행하기)26. 제12장 직업정보 제공(01. 직업정보 제공하기~03. 직업정보 환류하기)
직업상담사 2급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학습자
- [원패스] 직업상담사 2급 실기(직업상담 실무)
- 1. 제1장 직업상담 진단(01. 진단 실시 결정하기1)30 분
- 2. 제1장 직업상담 진단(01. 진단 실시 결정하기2)28 분
- 3. 제1장 직업상담 진단(02. 진단하기~04. 진단 결과 보고서 작성하기)38 분
- 4. 제2장 직업상담 초기면담(01. 친밀교감 형성하기~02. 호소 논점 파악하기)30 분
- 5. 제2장 직업상담 초기면담(03. 구조화 하기~04. 전력 수립하기1)32 분
- 6. 제2장 직업상담 초기면담(04. 전력 수립하기2~05. 초기면담 종결하기)34 분
- 7. 제3장 진로상담(01. 진로논점 파악하기~03. 직업정보 탐색 지원하기)29 분
- 8. 제3장 진로상담(04. 진로계획 지원하기)27 분
- 9. 제3장 진로상담(05. 진로계획 실행 지원하기)34 분
- 10. 제4장 취업상담(01. 내담자 구직역량 파악하기~03. 구인처 확보하기)41 분
- 11. 제5장 직업복귀상담(01. 직업복귀 동기 파악하기~02. 진로자본 파악하기)29 분
- 12. 제5장 직업복귀상담(03. 직업복귀 목표 설정하기~05. 활동 계획 평가하기)28 분
- 13. 제5장 직업복귀상담(06. 직업복귀 사후관리하기)~제6장 직업훈련상담(01. 내담자 직무역량 파악하기~02. 훈련과정 선택 지원하기)27 분
- 14. 제7장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01. 대상자 특성 파악하기~02.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하기1)30 분
- 15. 제7장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02.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하기2~03.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하기)27 분
- 16. 제7장 집단상담프로그램 운영(04. 집단상담 프로그램 평가하기)~제8장 직업상담 행정(01. 직업상담 인력 관리하기)32 분
- 17. 제8장 직업상담 행정(02. 직업상담 실적 관리하기~05. 전산망 관리하기)36 분
- 18. 제9장 취업지원행사 운영(01. 행사 범위 결정하기~02. 행사 계획하기)31 분
- 19. 제9장 취업지원행사 운영(03. 행사 홍보하기~04. 행사 운영하기1)27 분
- 20. 제9장 취업지원행사 운영(04. 행사 운영하기2~05. 행사 평가하기)28 분
- 21. 제10장 직업상담서비스 협업체계 구축(01. 협업범위 정하기)27 분
- 22. 제10장 직업상담서비스 협업체계 구축(02. 협업체계 구축하기~03. 협업체계 운영하기1)28 분
- 23. 제10장 직업상담서비스 협업체계 구축(03. 협업체계 운영하기2~04. 협업체계 운영 평가하기)28 분
- 24. 제11장 직업정보 수집(01. 직업정보 수집 계획하기)32 분
- 25. 제11장 직업정보 수집(02. 직업정보 수집 실행하기)29 분
- 26. 제12장 직업정보 제공(01. 직업정보 제공하기~03. 직업정보 환류하기)29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