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산업)기사 필기1(회로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전기(산업)기사 필기1(회로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193,050
  • 지원유형
    • 사업주훈련
    • 내일배움카드(재직자)
  • 정부지원 대기업 : 77,220원|중견기업 : 154,440원|우선지원기업 : 173,740원
    수료 시 추후 환급
  • 학습기간
    수료여부 관계없이 복습 12개월 추가 제공
  • 수료기준 진도 80% 이상 , 시험, 과제
  • NCS코드 19010601 : 전기설비설계
주문금액
193,050

comment

전기기사 필기1(회로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미리보기
학습방법 : HTML5 ( PC )
학습시간 : 65시간 64차시
난이도 : 입문
직업능력심사평가원과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인증
인증내역
직업능력심사평가원 (콘텐츠등록심사, 과정심사), 한국산업인력공단 (훈련과정 인정심의)
NCS직무분야
19010601 : 전기설비설계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1531 : 전기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강의목표

1.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취득에 대비할 수 있다.2. 전기관련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강의소개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습을 진행합니다.회로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과목에대해 학습합니다.

학습대상

1.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취득 희망자2. 현업에서 전기관련업무 실무자 및 관리자3. 전기관련 현장에서 공무업무를 담당하는 전기 담당자

제공서류
수료증수료시 발급가능
수강증명서학습시작 이후 발급가능
훈련과정탐색표바로 발급가능
출석부학습시작 이후 발급가능
관련직업

- 전기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 전기기기·제품 개발 기술자 및 연구원 - 전기계측 제어 기술자(전기패널, 계장, 공정자동화전기 등) - 발전설비 기술자 - 송·배전설비 기술자 - 전기공사 기술자(전기견적 포함) - 전기감리 기술자 - 전기안전 기술자

수료기준
필수평가 : 진도 (80% 이상) , 진행평가, 최종평가 , 과제
총점계산 : 진행평가(10점) + 최종평가(70점) + 과제(20점)
총점 60 점 이상시 수료
학습기간
30일 + 무료복습기간 360일
✅ 학습기간 + 무료복습기간 내 무제한 반복 수강 가능!
- 실제 해당 강의의 커리큘럼은 복습기간을 포함하지 않는 30일 입니다.
학습목차
전기(산업)기사 필기1(회로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1. 옴의 법칙 및 저항과 콘덕턴스의 성질
30 분
2. 교류의 표현 및 파고율과 파형율
30 분
3. 복소수의 연산방법과 R, L, C 소자의 성질
34 분
4. R, L, C 소자의 직, 병렬 접속
27 분
5. 교류전력
42 분
6. 상호유도회로
28 분
7. 선형회로망의 각종 이론
49 분
8. 3상 결선의 특성과 전력계법
49 분
9. 대칭좌표법
29 분
10. 비정현파와 2단자망
36 분
11. 4단자정수
42 분
12. 분포정수회로와 R-L 과도현상
34 분
13. R-L 과도현상과 R-C 과도현상 및 R-L-C 과도현상
40 분
14. 직류 발전기의 3대 구성요소
36 분
15. 전기자 권선법과 전기자 반작용
41 분
16. 정류, 유기기전력
47 분
17. 직류 발전기의 종류 및 특징
56 분
18. 전압변동률, 병렬운전 조건~직류 전동기의 속도 특성
54 분
19. 직류 전동기의 토크 특성~직류기의 손실 및 효율
45 분
20. 동기발전기의 구조
37 분
21. 동기발전기의 전기자 권선법, 전기자 반작용
33 분
22. 단락비가 크다는 의미~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
35 분
23. 자기여자현상, 난조, 안정도~동기발전기의 10대 공식①
36 분
24. 동기발전기의 10대 공식②
41 분
25. 동기발전기의 10대 공식③
29 분
26. 동기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동기 전동기의 장ㆍ단점
29 분
27. 변압기의 유기기전력~변압기 등가회로
43 분
28. 변압기의 전압변동률~임피던스 전압ㆍ와트
39 분
29. p, q, z~변압기 결선
32 분
30. 변압기 병렬운전, 상수변환
27 분
31. 단권변압기~변압기 내부고장에 대한 보호 계전기
30 분
32. 회전자계에 따른 토크발생~유도전동기의 이론①
38 분
33. 유도전동기의 이론②
39 분
34. 유도전동기의 이론③~비례추이
40 분
35. 원선도,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32 분
36.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유도전압조정기
39 분
37. 교류정류자기, 회전변류기
38 분
38. 수은 정류기~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회로
38 분
39. 총칙① 전기설비기술기준 제정 목적과 적용 범위 및 용어의 정의
51 분
40. 총칙② 전선의 선정과 식별 및 전로의 절연
42 분
41. 총칙③ 회전기, 정류기의 절연내력시험과 접지시스템의 시설
44 분
42. 총칙④ 접지시스템의 접지도체와 보호도체
44 분
43. 총칙⑤ 변압기 중성점 접지와 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의 접지, 등전위본딩, 외부 피뢰시스템
59 분
44. 총칙⑥ 내부 피뢰시스템과 저압 및 고압·특고압 전기설비① 저압 전기설비의 계통접지 방식
50 분
45. 저압 및 고압·특고압 전기설비② 감전에 대한 보호
48 분
46. 저압 및 고압·특고압 전기설비③ 과전류에 대한 보호와 과전압에 대한 보호
50 분
47. 저압 및 고압·특고압 전기설비④ 저압전로 중의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장치의 시설 및 고압·특고압 전기설비의 적용범위와 일반 요구사항
37 분
48. 저압 및 고압·특고압 전기설비⑤ 고압특고압 전기설비의 접지설비
41 분
49. 저압 및 고압·특고압 전기설비⑥ 고압특고압 기계 및 기구 시설과 전기울타리 등의 특수 시설
55 분
50. 저압 및 고압·특고압 전기설비⑦ 기타의 특수 시설
51 분
51.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등의 전기설비
50 분
52. 전선로① 가공전선로의 지지물과 풍압하중의 종별 및 지선과 구내인입선의 시설
57 분
53. 전선로② 가공전선의 굵기와 높이 및 가공전선로의 경간
70 분
54. 전선로③ 보안공사와 유도장해 방지 시설 및 이격거리
60 분
55. 전선로④ 가공전선과 식물의 이격거리 및 가공전선의 병행설치, 공용설치
54 분
56. 전선로⑤ 25 [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 지중전선로의 시설
57 분
57. 전선로⑥ 교량에 시설하는 전선로 및 급경사지에 시설하는 전선로의 시설과 전력보안통신선의 이격거리
52 분
58. 전선로⑦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등과 전력선 반송 통신용 결합장치의 보안장치 및 무선용 안테나
42 분
59. 옥내배선 및 조명설비①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선과 나전선의 사용 제한 및 애자공사, 합성수지관공사, 금속관공사 등
62 분
60. 옥내배선 및 조명설비② 금속몰드공사와 기타 각종 옥내배선공사 및 옥내배선과 타시설물의 접근 또는 교차 등
60 분
61. 옥내배선 및 조명설비③ 옥내 고압·특고압용 이동전선의 시설과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분전반 등의 시설 및 조명설비
56 분
62. 옥내배선 및 조명설비④ 특수장소의 전기설비와 전시회, 쇼 및 공연장의 전기설비 등
52 분
63. 전기철도설비 및 분산형 전원설비① 전기철도의 전기방식과 변전방식 및 전차선로 등
62 분
64. 전기철도설비 및 분산형 전원설비② 전기철도의 안전을 위한 보호 등과 분산형 전원설비
41 분